정부가 추진 중인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 사업이 국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으면서, 우리나라 조선 및 해운 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됐다. 이번 결정은 인공지능 기반 자율운항 기술을 본격적으로 상용화하기 위한 초석으로 평가된다.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1월 6일 “인공지능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사업”이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부터 2032년까지 총 6,03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국제해사기구(IMO) 기준 최고 단계인 레벨4, 즉 '완전 무인 자율운항' 수준의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 기술을 선박의 인지, 판단, 제어에 접목해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항해할 수 있는 차세대 운송 기술이다. 이 같은 기술은 운항 사고를 줄이고 선박 운용의 효율성을 높이며, 인력 문제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는 혁신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노하우와 기술집약도가 높은 조선 분야에서 국제 경쟁력을 끌어올릴 기회로 여겨진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기반으로 국제표준 제정에도 적극 참여해, 향후 세계 자율운항 기술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미래 자율운항선박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1,805억 달러(약 240조 원) 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조선과 해운 산업 모두에 걸쳐 대대적인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수산부는 이미 1,800TEU(1TEU는 20피트 짜리 컨테이너 크기)급 자율운항 실증용 컨테이너선을 건조해 기술 검증을 진행 중이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해운·조선 산업은 우리나라 대표산업인 만큼, 주도권 유지를 위해 완전자율운항 기술 확보는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정부와 민간이 긴밀히 협력해 기술의 빠른 확보와 상용화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자율운항 기술의 조기 실용화를 통해 우리나라가 관련 국제 기술 및 산업 생태계를 선도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조선 산업 전반의 고부가가치 구조 전환에도 가속도를 붙일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