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이 탈중앙화금융(DeFi)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면서 그 중심에 '히든로드(Hidden Road)' 인수가 주목받고 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리플 CEO는 최근 히든로드를 통한 월가 및 기관 투자자 유입 전략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 시장 간 경계를 허물겠다고 밝혔다.
히든로드는 단순한 프라임 브로커를 넘어 디지털 자산, 파생상품, 스왑 등에 대한 기관 접근을 총망라하는 ‘원스톱 채널’이다. 갈링하우스는 "기존에는 헤지펀드나 마켓메이커들이 JPMorgan이나 골드만삭스를 거쳐야 했다면, 이제는 히든로드를 통해 디지털 금융 세계로 곧장 들어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리플이 월가와 DeFi를 잇는 핵심 연결고리로 히든로드를 자처한 셈이다.
자본력과 재무 건전성을 갖춘 히든로드는 향후 리플의 기업 대상 디지털 자산 솔루션 확장 전략의 핵심 인프라로 손꼽힌다. 갈링하우스는 이 흐름이 시작일 뿐이라며, 더 많은 프라임 브로커들이 DeFi 시장 참여에 나설 것이라 내다봤다.
이와 동시에 리플은 1억 800만 달러(약 1천 5억 원) 상당의 XRP 3,500만 개를 단일 거래로 옮기며 또 한 번 시장의 이목을 끌었다. 트래킹 플랫폼인 XRP월렛에 따르면, 이 자산 이동은 리플 내부 이전으로, 상장지수상품(ETP), 신탁, 기타 투자상품 운용을 위한 전략적 조치로 해석된다. 앞서 6억 개가 넘는 XRP 이동 또한 유사한 목적의 내부 거래로 밝혀진 바 있다.
더불어 리플은 신설 스테이블코인 RLUSD를 자사 생태계의 핵심 유동성 수단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히든로드와의 시너지를 통해 XRP를 결제 자산, RLUSD를 담보자산으로 설정하면 기관의 DeFi 시장 진입 문턱은 더욱 낮아진다. 이는 XRP 레저상의 실물 기반 유틸리티 강화는 물론, 리플의 글로벌 결제 인프라 입지 확립에도 적잖은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편, XRP는 최근 변동성 속에서도 3달러(약 4,170원) 선에 거래되는 등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리플의 구조적 확장 및 기관 대상 금융 서비스 역량 강화가 장기적으로 XRP 수요에 긍정적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리플이 전통 금융과 디지털 금융의 교차점에서 적극적 행보를 보이는 가운데, 히든로드 인수는 단순한 기업 확장을 넘어 DeFi 주도권을 향한 전략적 기점이 되고 있다. 이는 단순 기술을 넘어 실질적 금융 거버넌스로의 진입이라는 점에서 시장의 장기적 지형도를 바꿀 수 있는 사건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