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과 은(銀) 가격이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큰 흐름이 국내 시장에서도 확산하고 있다. 특히, 긴 추석 연휴를 맞아 거래 시간의 제약 없이 주 7일 거래가 가능한 실물자산(RWA) 투자 플랫폼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커지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지난달 30일 한국 시각 오후 3시 기준 트로이온스(약 31.1g)당 3896.40달러에 거래되면서 3900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해 같은 날 종가인 2667.80달러 대비 약 44.79% 오른 가격이다.
은의 경우 금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안전자산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날 12월 인도분 은값은 트로이온스당 47.30달러를 기록해 같은 기간 32.39달러 대비 약 47.40% 올랐다. 특히, 은은 올해 들어서만 약 51.9% 상승하며 투자 수요를 무섭게 끌어올리고 있다.
지난달 들어 계속 상승세를 이어가는 금값은 3천600달러에서 단숨에 3천800달러를 돌파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연방준비제도(Fed) 압박으로 연준의 독립성이 훼손되면 최악의 경우 미 국채의 1% 이탈로 금값이 500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 같은 기대감에 힘입어 최근 투자자들 사이에서 국내 유일의 실물자산 기반 상품 투자 플랫폼인 '비단(Bdan)'이 높은 접근성과 수익률로 주목받고 있다.
비단은 주 7일 23시간 거래를 지원하는 만큼 추석 연휴 기간에도 투자자들이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금과 은 등 상품 거래를 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에 즉각 대응할 수 있고, 증권시장 등이 문을 닫는 휴일에도 투자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다.
비단은 소액 투자자도 쉽고 안전하게 금과 은 등에 투자할 수 있다. 비단의 ‘e금’은 0.01g, ‘e은’은 1g부터 구매가 가능하다. 복잡한 절차 없이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거래할 수 있어 투자 초보자도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다.
비단의 e금과 e은은 디지털 형태로 거래되기 때문에 실물 금 거래 시 부과되는 부가가치세 등 세금이 없다. ETF 금융상품 등을 통해 거래 시 발생하는 부가수수료 등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비과세 혜택을 받으며 투자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구매한 디지털 상품을 실물 형태로 보관해 안정성과 환금성도 높다. 비단의 e금과 e은을 구매하면 이와 연동해 같은 양의 실물 금과 은이 보안구역 내 금고에 안전하게 보관된다. 구매한 디지털 상품을 한국금거래소를 통해 골드바 형태로 실물 인출도 가능하다.
현재 비단에서는 금·은·플래티넘·팔라듐·구리·니켈·주석 등 7가지 실물자산 기반 상품을 거래 지원하고 있다. 올해 8월 말 기준 가입자 121만명, 누적 거래액 1조3100억 원을 기록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김상민 비단 대표이사는 "누구나 시공간의 제약 없이 쉽고 안전하게 세상의 모든 실물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플랫폼이 바로 비단"이라며 "디지털화한 실물자산 투자의 확대를 통해 그동안 일부 소수가 독점해 온 높은 수익률을 다수의 개인이 공유하는 시대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