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에이다, MEV 구조 차단으로 이더리움보다 기술적 우위 확보하나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개발자 'dori'는 에이다가 MEV를 원천 차단하는 구조를 갖췄다며 이더리움의 취약점을 지적했다. MEV 회피 방식이 블록체인 공정성과 탈중앙화의 핵심 기준이 되고 있다.

 에이다, MEV 구조 차단으로 이더리움보다 기술적 우위 확보하나 / TokenPost.ai

에이다, MEV 구조 차단으로 이더리움보다 기술적 우위 확보하나 / TokenPost.ai

이더리움(ETH)과 에이다(ADA)의 구조적 차이가 MEV(Maximal Extractable Value) 문제와 관련해 두 블록체인의 기술적 우위를 가늠하는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특히 한 개발자가 최근 에이다의 메커니즘을 집중 분석하며 이더리움의 구조적 결함을 조명해 눈길을 끌고 있다.

개발자 'dori'는 X(구 트위터)를 통해 카르다노 생태계의 MEV 회피 능력을 극찬하며, 이더리움의 구조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지적했다. 그는 에이다가 기반으로 사용하는 eUTXO 모델과 우로보로스(Ouroboros) 지분 증명(PoS) 시스템이 프로토콜 차원에서 MEV를 원천 차단해준다고 주장했다. 이는 이더리움의 글로벌 메모리풀 구조가 허용하는 MEV 기회와는 달리, 트랜잭션 재정렬 자체가 불가능하게 설계됐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MEV는 채굴자나 블록 생성자가 확인 대기 중인 거래의 순서를 바꾸거나 특정 거래를 삽입해 부가 수익을 창출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로 인해 'MEV 봇'이라 불리는 프로그램들이 수익을 목적으로 네트워크 상의 거래를 감시하고 앞서 거래를 실행시킨다. dori는 이를 두고 “은행이 고객의 데이터를 자기 이익에 활용하는 격”이라며 탈중앙성과 공정성을 훼손하는 중요한 리스크라고 경고했다.

이더리움은 MEV 이슈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 중이지만, 전문가들은 이것이 시스템 내재의 구조적 문제라며 근본적인 해법이 모호하다고 지적한다. 반면 에이다는 글로벌 메모리풀이 아예 존재하지 않고, 지역 단위로 트랜잭션이 검증되기 때문에 봇들이 다양한 거래를 미리 스캔해 조작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카르다노의 설계는 거래 투명성, 보안성, 효율성 측면에서 이더리움보다 훨씬 정교하다'는 dori의 표현은 일부 유저들과 커뮤니티에서도 지지를 얻고 있다. 특히 카르다노의 기술적 구성 요소가 “실제 탈중앙화 원칙과 잘 부합된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한편, MEV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이더리움 외에도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확산 중이다. 최근 메인넷을 업그레이드한 Neo X 블록체인은 MEV 보호 기능을 탑재하고 “검열 저항성과 진정한 탈중앙화”를 추구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이처럼 MEV 회피 구조는 사용자 중심 블록체인 설계의 핵심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결국 에이다와 이더리움 간의 MEV 대응 방식 차이는 단순한 기술적 우위 문제가 아니라, 블록체인의 공정성과 사용자 보호라는 근본 가치를 어디에 둘 것인가에 대한 철학적 차이로 해석될 수 있다. MEV 구조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도 여러 체인 간 경쟁에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10.13 22:45:5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