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블록체인 기업 리플(Ripple)이 암호화폐 시장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며 전통 금융으로의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CNBC는 최근 리플이 ‘암호화폐를 정복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2025년을 리플의 전성기로 지목했다.
리플은 지난 10월 개최된 자사 연례 컨퍼런스 '스웰(Swell)'에서 기업가치가 400억 달러(약 54조 원)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5억 달러(약 6,75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이후 나온 발표로, 갤럭시 디지털을 포함한 기관 투자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더불어 리플은 국고관리 서비스 기업 GTreasury를 인수하며 전략적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리플 CEO는 CNBC와 인터뷰에서 “우리는 탈중앙 금융과 전통 금융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가 되기 위해 수년간 노력해왔다”며, 수십억 달러 규모의 인수합병이 그 일환이라고 밝혔다. 그는 “전통 금융과 암호화폐의 경계를 허무는 것이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규제 불확실성은 여전히 주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상원의 시장구조법안이 정체 상태에 빠지며, 연내 통과 가능성이 낮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갈링하우스는 "디지털 자산과 증권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리플은 오랫동안 자체 블록체인인 XRP 레저 기반의 송금 솔루션을 통해 암호화폐 분야에서 선두를 지켜왔으며, 이제는 인수합병과 규제 로비를 병행하며 전통 금융으로의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 이번 행보는 단순히 암호화폐 기업의 성장 그 이상으로, 기존 금융 생태계와의 융합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