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스케일이 자사의 지캐시 트러스트(Zcash Trust)를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로 전환하기 위한 절차에 돌입했다. 이는 프라이버시 코인과 연동된 최초의 ETF 시도 중 하나로 주목된다.
현지시간 26일, 그레이스케일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폼 S-3(Form S-3)’ 등록 서류를 제출하며 지캐시(ZEC) 트러스트의 구조를 ETF로 전환할 계획을 공식화했다. 해당 ETF는 뉴욕증권거래소 아크(Arca)에 상장될 가능성이 높다.
지캐시는 사용자 거래 내역 등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이 핵심인 암호화폐다. 때문에 기존에 SEC가 승인한 비트코인(BTC) 및 이더리움(ETH) 기반의 현물 ETF와 달리, 익명성이라는 특징이 규제 측면에서 더 높은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레이스케일은 앞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물론, 도지코인(DOGE), 리플(XRP) 기반의 ETF 상품도 추진해온 바 있다. 이번 지캐시 ETF 추진은 보다 다양한 자산군에서 ETF 접근성을 확대하려는 전략 일환으로 풀이된다.
시장에서는 SEC의 승인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만약 승인이 날 경우, 프라이버시 코인에도 ‘제도권 투자 창구’가 열리는 셈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SEC가 내세우는 자금세탁방지(AML), 고객확인(KYC) 기준 등을 고려할 때 승인 문턱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그레이스케일이 프라이버시 코인 최초의 현물 ETF 출시를 추진하면서 제도권 진입 여부를 둘러싼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전략 포인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외에 대체자산 기반 ETF 수요를 선점하려는 전략으로, 승인 여부에 따라 향후 프라이버시 코인 시장에 대한 투자자 신뢰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 용어정리
- 지캐시(ZEC): 거래 익명성을 기본으로 하는 프라이버시 암호화폐
- 현물 ETF: 실제 자산을 기초로 하는 상장지수펀드
- Form S-3: SEC에 상장 기업이 투자 상품 등록 시 사용하는 서류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