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제은행(BIS)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 ‘토큰화 머니마켓 펀드’가 스테이블코인을 대체할 수 있는 핵심 수익형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다. BIS는 이 펀드들이 단기 국채 수익을 제공하면서도 증권 수준의 보호장치를 갖추고 있어, 단순히 가치 고정에 의존하는 스테이블코인보다 우위에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토큰화 머니마켓 펀드의 운용자산 규모는 2023년 말 약 7억 7,000만 달러(약 1조 1,290억 원)에서 최근 약 90억 달러(약 13조 2,012억 원)로 1년도 안 돼 10배 넘게 급증했다. BIS는 이러한 급성장이 암호화폐 생태계 내에서 토큰화 국채 포트폴리오가 신뢰 가능한 담보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새로운 유동성·운영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토큰화 머니마켓 펀드는 미국 국채와 같은 단기 이자 수익 자산을 블록체인 상에서 보유할 수 있도록 만든 금융 상품이다. 투자자는 온체인에서 접근성과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기존 시장의 상품과 유사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BIS는 이들 펀드가 퍼블릭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움직이더라도, 실제 환매, 청산, 가격 산정 등은 오프체인에서 이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즉시 결제 가능한 블록체인’과 ‘거래 지연이 필연적인 기존 금융 시스템’ 간 구조적 불일치가 생기며, 대량 환매 상황에서는 이 격차가 마찰과 변동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우려는 스테이블코인과의 높은 상관관계다. 일부 토큰화 펀드는 스테이블코인과의 자동 전환 기능을 제공하거나, 레버리지 거래에 이용되고 있다. BIS는 이런 ‘피드백 루프’ 구조가 존재할 경우, 전통 자산시장보다 훨씬 빠르게 충격이 전이될 수 있다고 짚었다.
자산운용사들도 본격적으로 펀드 토큰화에 뛰어드는 모습이다. 프랭클린템플턴은 11월 12일, 고유 블록체인 플랫폼인 벤지(Benji)를 금융기관 특화 체인인 ‘캔튼 네트워크’에 통합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자사 미국 국채 기반 온체인 펀드를 퍼블릭 블록체인은 물론, 기관 중심 블록체인에서도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블랙록도 최근 USD 디지털 유동성 펀드(BUIDL)를 이더리움 외 아발란체(AVAX), 아비트럼(ARB), 옵티미즘(OP), 폴리곤(MATIC), 앱토스(APT) 등 다수의 블록체인으로 확장하며 멀티체인 전략에 나섰다. 이는 실물 자산의 토큰화를 본격화하려는 월가 금융사들의 방향성을 반영한다.
이 분석은 BIS가 국제통화기금(IMF) 출신으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지지자인 토마소 만치니-그리폴리(Tommaso Mancini-Griffoli)를 혁신허브 수장으로 임명한 바로 다음 날 공개돼, BIS가 디지털 자산 환경의 규범 정립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란 신호로 해석된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의 융합이 본격화되면서, 토큰화 자산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현실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담보 역할 강화 및 새 유동성 수단으로 주목된다.
💡 전략 포인트
- 머니마켓 펀드에 대한 토큰화 추세를 주시하고, 정부채 기반 자산의 온체인 전환이 가져올 시장 재편에 대비해야 한다.
- 스테이블코인 기반 서비스 기업은 기능 중복화 및 리스크 대응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
📘 용어정리
- 토큰화(Tokenization): 실물 자산 또는 권리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토큰으로 전환하는 과정
- 머니마켓 펀드: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해 안전성과 유동성을 높인 투자 펀드
- 피드백 루프: 시스템 내 요소 간 상호작용이 점차 강해지며 파급 효과가 증폭되는 구조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