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6월 12일 코인니스 저녁 뉴스 브리핑

프로필
Coinness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빗썸 상층부 핵심 주주, 금융범죄 전과 확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빗썸의 감사였으며 실질적 주주라 할 수 있는 인물이 주가조작과 횡령 등 금융범죄 전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2019년 4월부터 2020년 3월까지 빗썸코리아 감사를 맡았던 정아무개(40)씨로, 정씨는 2015년 서울 남부지방법원에서 자본시장법 위반으로 징역 1년6개월,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최소 두 차례 전과가 있었음에도 정씨는 빗썸의 감사로 임명됐음은 물론, 빗썸 경영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올랐다. 빗썸에 대한 지분을 주장할 수 있는 '비트갤럭시아1호 투자조합'에서 정씨의 가족 및 친구들 명의로 된 지분이 절반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3월 국회에서 개정돼 내년 실시를 앞두고 있는 특금법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는 내년 9월까지 가상자산사업자로 신고하고 일정 자격을 갖춰야 한다. 우선 거론되는 요건 중 하나가 대주주 적격성 문제인데 순환출자 고리가 얽혀있는 빗썸의 복잡한 지배구조와 정씨의 금융범죄 이력은 빗썸의 가상자산사업자 자격 획득에 좋지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

[ETH, 세 번째 고액 수수료 이상 거래 발생…수수료 2,310ETH]

이더스캔에 따르면 12일 8시 12분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3,221 ETH(약 75만 5,740 달러) 이체에 수수료 2,310ETH(약 54만 달러) 이상 거래가 발생했다. 최근 들어 세 번째 ETH 고액 수수료 거래다. 해당 거래는 MiningPoolHub 주소 0xDA466bF1cE3C69dbeF918817305cF989A6353423에서 0xe386e3372e3d316ae063af50c38704ec6fba5149로 이체됐으며 해당 블록은 F2Pool이 채굴한 것으로 나타났다.

[펙실드, ETH 고액 수수료 거래에 '해킹' 가능성 제기]

최근 ETH 연이은 고액 수수료 사건과 관련해 펙실드가 해커 공격 가능성을 제기했다. 요지는 다음과 같다.

-해커는 거래소 대상 해킹(피싱) 공격을 진행. 서버 관리 등 일부 권한 확보

-거래소 프라이빗키는 멀티시그니처(복수 서명 필요) 거래를 요구하고 있어 자산 이체에 실패

-이에 따라 거래 권한이 있는 화이트 리스트 상의 주소로 대신 자금을 이체

-두 건의 ETH 고액 수수료 이상 이체 발생(보고서 작성 시간 기준)

-해커는 확보한 GasPrice 권한을 바탕으로 '탈취' 대신 해당 자산을 써버리는 방안을 선택

-이는 거래소 측에서 대가를 지불하지 않을 경우 확보 자금을 써버리겠다는 암묵적 메세지(현재 해당 주소 잔액은 2.1만 ETH만 남은 상태)

-해당 거래소는 프라이빗키를 정상적으로 관리·사용할 수 없으며 잔액 이체도 불가능한 상황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38... 보름만에 '공포 단계' 되돌림]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52)보다 14포인트 내린 38을 기록하며 '공포 단계'로 되돌림했다. 이는 지난 5월 28일 이후 약 15일 만이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유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마운트곡스 전 CEO, 상소 기각 결정에 "나쁜 선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전 마운트곡스 CEO 마크 카펠레스(Mark Karpeles)가 "이번 상소 기각 결정에 계속해서 싸울지 법률팀과 협의 중이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이번 판결은 나쁜 선례를 남겼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법원은 상소 기각 결정을 내리면서 "'기업 자체 의지'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이는 회사가 경영진 혹은 주주와 다른 자체적인 '의지'를 가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경영에 실패했다고 해서 회사가 기소 위험까지 마주해야 하는가. 더 심각한 것은 기업이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의지'라는 것이 검찰 측에 의해 일방적으로 정립될 수 있는 개념이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일본 지지통신에 따르면, 11일 일본 도쿄고등법원이 한때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였던 마운트곡스(MtGox)의 전 최고경영자 마크 카펠레스에 대한 상소 판결을 진행했다. 이날 재판을 진행한 후지 마리코(藤真理子) 판사는 2년 6개월의 징역, 4년 집행유예의 1심 판결을 유지한다며 피고측 변호인의 상소를 기각했다.

https://kr.coinness.com/news/673876

[외신 "인도 정부, '암호화폐 거래 금지법' 제정 움직임"]

인도 현지 경제 일간지 이코노믹타임스가 "인도 정부가 암호화폐 거래를 법으로 금지하는 방안을 계획 중"이라고 12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익명의 정부 고위관계자의 제보를 인용 "인도 정부가 '암호화폐 거래 금지법' 제정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법률적 프레임워크를 마련하는 것이 중앙은행의 통지보다 효과적이라고 판단해서다. 앞서 지난 3월 4일 인도 최고법원은 인도중앙은행의 암호화폐 거래 금지령을 해제해야 한다고 판결한 바 있다. 이에 인도 재정부는 암호화폐 거래 금지법 제정 관련 문서를 정부 부처에 전달했다. 해당 문서는 정부 부처간 협의를 거친 후 내각으로 제출될 것이며, 이후 의회로 전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Provided by 코인니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