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美 하원, 10일 '경쟁법' 청문회...블록체인 경쟁력 강화"]
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가 "10일(현지 시간) 미국 하원 에너지 및 상업 위원회에서 '미국 경쟁법'(American COMPETE Act) 관련 청문회가 개최된다. 이날 논의되는 새로운 경쟁법은 미국이 블록체인 산업에서 중국을 이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9일 보도했다. 앞서 바비 러시(Bobby Rush), 케이시 맥모리스(Cathy McMorris Rodgers) 등 미국 하원 의원을 포함한 12 명의 후원자는 새로운 '미국 경쟁법'(American COMPETE Act)을 발의한 바 있다. 해당 법안은 인공지능, 양자 컴퓨팅, 사물 인터넷, 블록체인 등 신흥 기술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요구한다. 이와 관련 해당 법안을 발의한 바비 러시 미국 하원의원은 "양자 컴퓨팅 및 블록체인 등 기술은 인류의 지평을 넓혀 정보를 교환하고 주변국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유명 비트코인 회의론자 '아들 BTC 매수, 옳은 결정이냐' 투표에 81% '아들이 맞다']
비트코인 회의론자 피터 시프 유로 퍼시픽 CEO가 '아들이 BTC를 매수했다'며 이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묻는 투표를 게재한 가운데, 81.3%가 아들의 선택에 손을 들어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투표에는 총 82,906 명이 참여했다. 이와 관련해 안토니 폼플리아노 모건크릭디지털 창업자는 "아들을 이용해 금 투자 베팅을 헷지하는 것은 좋은 생각이다. 금값이 오르면 피터 시프가 혜택을 보고 BTC 가격이 오르면 아들이 혜택을 받는다. 금 투자 지지 입장을 고수하는 동시에 두 자산 모두 매수할 수 있는 영리한 전략이다"고 말했다. 전날(8일) 피터 시프는 트위터에서 "아들이 나의 경고를 듣지 않고 비트코인을 추가 매수했다. 누구의 조언을 따라야 하는가"라며 '57세의 경험이 풍부한 투자자 및 비즈니스 오너로 30년간 전문적으로 투자에 종사한 아빠'와 '직업을 가져보지 못한 18살의 대학생 새내기 아들' 양자택일 투표를 진행했다.
[美 NYAG, 테더·비파에 신용 한도 관련 자료 제출 요청]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뉴욕 검찰총장실(NYAG)이 8일(현지 시간) 달러 가치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T 발행사 테더와 관련사 비트파이넥스에게 두 기업의 신용 한도와 구체적인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해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NYAG는 현지 법원에 "일정 기간 동안 USDT 스테이블코인을 뒷받침하는 준비금의 비율은 약 74%에 불과했다"며 비트파이넥스가 8.5억 달러 규모의 고객 및 기업 자금에 대한 접근 권한을 잃었다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이에 비트파이넥스와 테더 측은 'NYAG'는 관할권이 없다며 항소했지만 현지 법원에 의해 기각됐다.
[외신 "中 4대 국영은행 선전 지점, DCEP 내부 테스트 진행 중"]
중국 현지 매체 증권시보가 "중국공상은행, 중국농업은행, 중국은행, 중국건설은행 등 4대 중국 국연 은행의 선전 지점 내 일부 직원들이 디지털 위안화(DCEP) 관련 내부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9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해당 지점에서 근무 중인 일부 직원들은 DCEP 관련 앱의 내부 테스트 초대장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테스트 내용은 다운로드, 회원가입, 환전, 이체 등 기본적인 기능에 한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외신 "베네수엘라 정부, 코인베이스 현지 이용 차단"]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디지털자산 권리 우호 단체를 인용, 베네수엘라 정부가 코인베이스 및 송금 플랫폼 MercaDolar 현지 접근을 차단 조치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조치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가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이미 다수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유사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고 미디어는 덧붙였다.
Provided by 코인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