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이해 높은 前 CFTC 의장, 바이든 금융 정책 인수팀 이끈다]
암호화폐에 대해 이해도가 높은 게리 겐슬러 전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의장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금융 정책 인수팀을 이끌게 됐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게리 겐슬러는 10일(현지시간) 미 연준과 은행 및 증권 감독 기구 등 금융 기관 검토 팀의 책임자로 낙점됐다. 미디어에 따르면 그는 수차례 의회에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대한 의견을 피력했다. 그는 특히 암호화폐와 폰지 사기를 비교하는 데 비판적인 시각을 비쳤으며, 페이스북의 리브라 토큰이 미국법상 증권 요건에 충족한다고 밝혔다. 또한 XRP와 이더리움이 미등록 증권에 해당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2019년 코인데스크 op-ed 포럼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이 변화의 촉매제라고 평가했다. 이외에도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권에 미칠 영향 논문을 집필한 사이먼 존슨 MIT 슬론 경영대학교 교수와 리브라에 대해 미 의회에서 증언한 크리스 브룸머 조지타운대 법학부 교수, 메르사 바라다란 캘리포니아 어바인대 교수 등이 바이든의 금융 규제 위원회 심의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비트파이넥스 CTO "USDT 최근 2개월 시총 증가액, USDC 시총과 맞먹어"]
파올로 아도이노(Paolo Ardoino) 테더사 CTO가 트위터를 통해 "9월 15일 이후 2개월이 채 되지 않는 시간 동안 USDT 시총이 크게 증가했다. 증가액은 2대 스테이블코인 USDC 시총 규모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댑토탈에 따르면 현재 USDT 시총은 176억 달러, 2위 USDC는 28억 4,000만 달러다.
[대형 암호화폐 펀드 추정 주소, 200만 달러 규모 YFI 매입]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슬레이트가 이더리움 블록체인 분석 업체 난센(Nansen)의 분석을 인용 "대형 암호화폐 펀드 폴리체인 캐피탈 소유 주소로 추정되는 계정이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젝트 와이언파이낸스(YFI)의 YFI 토큰을 추가로 매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11일 보도했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해당 주소에는 10일 아침(현지 시간) 당시 210만 달러 상당의 가치를 갖고 있는 140.8 YFI가 입금됐다. 송금 측은 바이낸스 관련 주소였다. 한편 알렉스 스바네비크 난센 최고경영자(CEO)는 "폴리체인 캐피탈은 앞서 460만 달러 상당의 329 YFI를 인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추가 구매는 폴리체인 캐피탈의 YFI 구매 발표 이후 3주 만에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폴리체인 캐피탈은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창업 멤버 올라프 클라슨이 주도하는 크립토 펀드다.
[리플 CTO "무명 알트코인 투자로 30만 달러 날렸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최근 데이비드 슈워츠 리플(XRP, 시총 4위) CTO가 소셜 네트워크 기반 Q&A 플랫폼 쿼라에서 "무명 알트코인에 투자해 약 30만 달러를 날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결과적으로 쓸모없는 투자로 간주해야 하는 암호화폐에 몇 차례 투자했었다. 나에게 투자 손실을 안겨준 11종 알트코인은 Blocktix(TIX), DICE, Flash(FLASH), Vezt(VEZT), Amp(AMP), Signal Token(SIG), Bee(BEE), Kind Ads Token(KIND), Pryze(PRYZ), KudosCoin(KUDOS), Neuron(NRN)"이라고 설명했다.
[외신 "DASH, 라틴아메리카 거래량 전년 比 30% 증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프라이버시 코인 대시(DASH, 시총 30위)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발생하는 일일 DASH 거래량이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고 10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DASH 모바일 사용자 수, 일일 활성 주소, 포트폴리오 포함 비율 등 지표가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DASH 네트워크의 평균 성장율 역시 30%를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Provided by 코인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