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BTC 온체인 지표, 채굴자 항복 구간 탈출 암시"]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 산업 현황 진단에 사용되는 핵심 지표인 푸엘 멀티플(Puell Multiple) 지수가 191일 만에 항복 구간에서 벗어났다. 채굴자들의 수익은 증가했으며, 매도 압력이 줄어 비트코인 시장의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게 비인크립토 측의 설명이다. 푸엘 멀티플은 일평균 비트코인 채굴 수익을 일일 평균 채굴 전기 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측정되며, 1이상의 값은 채굴자가 수익을 창출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반면, 1보다 낮은 값은 채굴자가 적자 상태임을 나타낸다.
[펙실드 "1,300만 달러 상당 암호화폐 알라메다 주소로 이동"]
블록체인 보안 업체 펙실드에 따르면, 최근 1,3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가 알라메다 리서치의 통합 주소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600만 USDT, 1,545 ETH(약 250만 달러)는 비트파이넥스 주소로부터 나왔고, 460만 USDC는 익명의 주소로부터 이체된 것으로 전해졌다.
[보이저 채권자, 법원에 독립 파산관재인 임명 신청]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챕터11 파산 절차를 진행 중인 암호화폐 대출 업체 보이저디지털(VGX)의 채권자 미셸 디비타(Michelle DiVita)가 최근 법원에 독립 파산관재인을 임명해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했다. 해당 신청서에서 그는 "부실 재무제표와 허위 진술 등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보이저로부터 자산 통제권을 회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보이저는 재무제표에서 10억 달러 이상의 대출 포지션을 축소 기재했으며 불합리적 대출에 대한 사실 관계를 은폐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보이저는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즈캐피털(3AC)에 집행한 대출금을 6억 900만 달러를 축소 기재했으며, 재무제표에서 보유 비트코인 가치를 546% 저평가해 대출 규모를 축소시킨 혐의를 받고 있다. 미국 파산법은 채무자가 사기, 부정 혹은 범죄 행위에 가담했다는 합리적인 근거가 있을 때 채권가가 챕터11 관재인 임명 신청을 제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챕터11 관재인은 채권자 위원회를 조직하고 채무자가 해결 불가능한 절차에 별도의 관재인을 고용해 채무자의 업무를 관리감독할 수 있다.
[위믹스, 200만 위믹스클래식 정기 소각]
위믹스(WEMIX) 팀이 메인넷 출시 전 클레이튼(KLAY) 기반 WEMIX 토큰인 위믹스클래식 200만 개를 소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WEMIX 공급 계획에 따른 정기 소각의 일환으로 재단의 클레이튼 메인넷 지갑에서 200만 WEMIX 클래식이 소각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200만 WEMIX 클래식이 지닥(GDAC) 거래소에서 회수, 소각됨에 따라 유통량은 감소할 예정이다.
[펙실드 "보이저 주소서 미국 거래소로 VGX·LINK·ETH·SHIB 이체"]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PeckShield)가 트위터를 통해 "최근 12시간 동안 보이저에서 코인베이스, 바이낸스US, 크라켄 등 거래소로 96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이체했다"고 분석했다. 이들 거래소로 490만 VGX(약 210만 달러), 22.1만 LINK(약 150만 달러), 3050 ETH(약 500만 달러), 2700억 SHIIB(약 300만 달러)가 이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DCG 산하 거래소 루노 말레이 지사 "DCG 및 계열사들과 완전 분리 운영"]
테크인아시아에 따르면, 디지털커런시그룹(DCG) 산하 암호화폐 거래소 루노(Luno)의 말레이시아 지사가 최근 공식 성명을 통해 "루노 말레이 지사는 DCG 및 DCG의 자회사들과 완전 분리돼 운영되고 있다. 루노 말레이 플랫폼 내 사용자 자산은 안전하다"고 밝혔다. 앞서 DCG 산하 암호화폐 트레이딩 및 대출 자회사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털은 FTX 여파로 미국서 챕터11 파산 신청을 한 바 있다.
[美 스타트업 레벨필드, FDIC 가입 '벌링 뱅크' 인수 추진...크립토뱅크 출범 목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뱅킹 스타트업 레벨필드 파이낸셜(LevelField Financial)이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가입된 시카고 소재 지역 은행 벌링 뱅크(Burling Bank) 인수를 추진한다. 이번 인수를 통해 레벨필드는 FDIC 보험에 가입된 풀 서비스 은행(전통 금융·암호화폐 뱅킹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기관)이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인수 거래는 규제 절차에 따라 올 연말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되며, 인수 거래의 세부 조건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뉴욕 금융당국은 'FDIC 보험에 가입했다'며 허위로 제품 홍보를 진행했다며 현지 거래소 제미니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BTC 채굴업체 Pow.re, 920만 달러 시리즈 A 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BTC 채굴업체 Pow.re가 920만 달러 상당의 시리즈 A 투자 및 1800만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 기업 가치는 1.5억 달러로 평가됐다. 투자 라운드는 하루 인베스트(Haru Invest)의 주도 하에 트리니토(Trinito) 및 RFD캐피탈(RFD Capital)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파라과이 내 비즈니스 확장에 사용할 방침이다.
[USDD 0.995 달러선 회복...디페깅 완화]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이후 달러 디페깅이 심화됐던 USDD가 커브에서 1 USDD 당 약 0.996 USDT, USDC, DAI에 거래되고 있다.
[안드레 크로녜 "팬텀, 속도·완결성 등 강점"]
팬텀(FTM) 블록체인 창시자 안드레 크로녜(Andre Cronje)가 트위터를 통해 "팬텀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며 팬텀 블록체인의 강점을 아래와 같이 나열했다. ▲900ms 이하의 가장 빠른 트랜잭션 컨펌 시간 ▲롤백 불가능한 체인 완결성 ▲'콜백지옥' 없는 RPC 동기화 ▲가스 수익화 모델 ▲FTM 없이 가스비 지불 지원 ▲웹2 형식 로그인을 지원하는 네이티브 스마트 월렛 ▲솔리디티&바이퍼 완전 호환 ▲개발자 보조금과 가스 수익 공유를 통한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 ▲개발자 친화적인 정기 해커톤 개최 ▲자동화 온체인 감사 서비스 ▲99.99% 가동 시간으로 4년간 운영 경험 ▲30년 장기 로드맵 등.
[무디스 "미 기관, 망고마켓 해커 기소... 디파이 규제환경 개선에 긍정적 역할"]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가 "최근 미국 규제기관이 망고마켓 탈취 해커 아브라함 아이젠버그(Avraham Eisenberg)에 집행 조치를 취했다. 이는 디파이 업계의 규제 환경이 개선되고 있다는 증거"라고 평가했다.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및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망고마켓에서 1.1억 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탈취한 것과 관련해 아브라함 아이젠버그에 소송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해 무디스는 "미국 규제기관이 디파이 해커에게 집행 조치를 취하는 것은 디파이 업계가 더 안전하고 환영받는 환경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증거다. 이러한 조치가 오픈소스 프로토콜에 대한 관할권 명확성 부족으로 규제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분류되던 디파이 업계의 기관 규제가 개선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해당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앱토스 월렛 마션, 트위터 통합 기능 출시]
레이어1 블록체인 앱토스(Aptos) 월렛 마션(Martian)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트위터 통합 기능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용자는 트위터를 통해 앱토스 네트워크에서 토큰 및 NFT를 전송할 수 있다. 향후 트위터를 통한 NFT 구매 등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는 설명이다. 앱토스 NFT 프로젝트 혹은 다오는 트위터 기반 이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마션 월렛이 지원하는 토큰 혹은 NFT를 이용해 커뮤니티에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JP모건 "기관 투자자 72%, 올해 암호화폐 거래 계획 없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JP모건이 최근 835 명의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3년 디지털 자산 거래 계획' 설문조사에서 72%의 응답자가 "올해 암호화폐 거래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서 암호화폐 거래를 계속하거나 올해부터 시작할 것이라는 응답자는 14%에 그쳤다. 나머지 14%는 올해 투자 계획은 없지만 향후 5년 내 투자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조사 대상 기관 투자자 중 92%는 아직 포트폴리오에 암호화폐 시장 익스포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트렉스, 직원 83명 정리해고]
포캐스트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렉스가 직원 83명을 정리 해고한다. 이와 관련 비트렉스측은 "지난해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발생한 여러 사고들로 인해 장기화된 시장 침체는 우리의 전략을 돌아보게 되는 계기가 됐다. 이에 인력 감축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비트렉스는 지난해 10월 제재 지역 사용자들이 플랫폼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미국 재무부로부터 $290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은 바 있다.
[메디블록, 보건산업진흥원 지원 해외진출 사업에 선정...인니 진출]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기업 메디블록(MED)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이 지원하는 2023 해외진출 사업에 선정됐다고 2일 발표했다. 해당 사업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가 주관하고 KHIDI가 주도하는 국제의료기기 수출지원사업 중 하나다. 해당 사업을 통해 메디블록은 크리스마스 성형외과, K-DOC와 함께 구축한 컨소시엄을 통해 동남아 국가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한다. 특히 발리에 위치한 의료·웰니스 경제특구에서 현지 메디컬뷰티그룹과 협력, 한국형 의료기관을 설립 및 운영할 예정이다. 메디블록은 자체 솔루션인 닥터 팔레트를 앞서 언급한 한국형 의료기관에 제공하고, 현지화 및 병원 모델 구축에 기여할 계획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MED는 현재 4.05% 오른 0.0173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점프트레이딩, 바이낸스로 200만 MASK 이체]
펙쉴드에 따르면, 약 1시간 전 200만 MASK(약 962만 달러) 토큰이 점프트레이딩 바이낸스 입금 주소에서 바이낸스로 이체됐다. 점프트레이딩 바이낸스 입금 주소는 앞서 91일 전 마스트 네트워크 팀 월렛 주소에서 이체 된 100만 MASK를 포함한 200만 MASK를 받았다.
[플라이빗, ISO27001 및 ISO27701 인증 동시 취득]
한국디지털거래소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플라이빗(FLYBIT)이 2일 공식 채널을 통해 국제표준 정보보호 인증 ISO27001(정보보호 경영시스템) 및 ISO27701(개인정보보호 경영시스템) 등을 동시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국내 코인마켓 거래소 중 최초다. 이와 관련 김석진 플라이빗 대표는 "안전한 거래 환경 조성을 위해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별도 조직을 만들고 정보보호 체계를 구축해왔다. 향후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정보보호 역량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쿨캣츠, 커뮤니티 보상 시스템 '쿨 스코어' 도입]
유명 NFT 프로젝트 쿨캣츠(Cool Cats)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커뮤니티 보상 시스템 '쿨 스코어'(Cool Score)를 도입한다고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쿨 스코어는 커뮤니티 구성원의 NFT 컬렉션 보유 기간, 커뮤니티 참여도, 쿨토피아 참여도, 쿨 펫 완전 진화 여부 등을 합산한 포인트로, 향후 컬렉션 드롭, IRL 이벤트, VIP 승급 등에 참여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활용된다.
[에브모스, EVM 생태계 확장 등 2023 로드맵 공개]
코스모스 EVM 허브 에브모스(EVMOS)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2023로드맵을 공개했다. 에브모스 측은 이번 로드맵의 3가지 주요 목표로 EVM 생태계 확장, Evmos SDK, EVMOS dApp 스토어 구축 등을 꼽았다. 이날 에브모스가 발표한 로드맵에서는 앞선 내용 외에도 유동성 스테이킹, 인터체인 계정, ERC20 IBC 자산 자동 스왑 단순화 등 내용이 포함됐다. 이와 관련 에브모스 측은 "에보므소 네트워크는 또 다른 레이어1 혹은 레이어2가 아니다. 우리는 크로스체인 환경 구현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는 EVM 스택"이라고 강조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VMOS는 현재 2.71% 오른 0.469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경찰, 지난해 1538억원 암호화폐 범죄수익액 동결]
지난해 경찰 수사 단계에서 동결된 약 4400억원의 범죄수익액 중 암호화폐가 1538억원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가 2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한 해 경찰은 총 4389억원 상당의 범죄수익을 보전(처분금지) 조치했다. 보전된 범죄수익 가액은 암호화폐, 부동산 등의 시장가치 하락에 따라 47%포인트 감소했다. 보전된 재산 중 가장 많았던 것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로 총 1538억원(35%)에 달했다. 이중 비트코인 보전액은 1445억원 상당으로, 전년(14.5억원) 대비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데이터 "1월 NFT 거래량 10억 달러 규모, 12월 대비 41.96% 증가"]
비트코인닷컴이 NFT 데이터 플랫폼 크립토슬램(CryptoSlam)의 데이터를 인용 1월 NFT의 거래량이 지난해 12월 대비 41.96% 증가한 9억 9753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월간 거래 건 수 또한 한 달 동안 22% 이상 증가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기반 NFT 거래량이 7억 8487만 달러를 기록하며 집계 대상인 20개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1월 NFT 거래량의 78.681% 상당이다. 솔라나는 1억 5040만 달러를 기록해 약 15.07%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카르다노, 이뮤터블X, 폴리곤 체인이 뒤를 이었다. BAYC의 NFT 거래량은 전월 대비 309% 증가해 4,233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거래량 기준 상위 5개 NFT 컬렉션은 1월 약 2억 4256만 달러의 거래량을 나타냈다. 월간 거래량의 24.31%를 차지했다. 1월 가장 비싸게 거래된 NFT는 BAYC#5840으로, $796,444에 판매됐다. 한 달 판매량 기준 오픈씨가 전체의 40%를 차지하며 선두를 지켰고, Blur가 32%, X2Y2가 8%를 차지하며 뒤를 이었다.
[신한證, 증권형토큰 민간 협의체 설립 추진…명칭은 'STO 얼라이언스']
신한투자증권이 증권형토큰발행(STO)과 관련한 민간 협의체 설립을 추진한다. 금융당국이 증권형토큰 가이드라인 발표를 앞두고 관련 인프라나 기준이 부족한 상황인 만큼 혼선을 정리하고 산업 진흥을 도모하고자 협의체를 구성하겠다는 의도다. 신한투자증권은 이르면 다음 주 STO 관련 민간 협의체 구성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아직 공식 명칭이 정해지진 않았지만, 협의체 명칭은 'STO 얼라이언스'가 될 가능성이 크다. STO 얼라이언스는 명칭대로 STO사업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기업들을 회원사로 모집할 방침이다. STO 사업을 준비하는 증권사뿐만 아니라 선박·항공사 등 실물자산 기업, STO 관련 가상자산 사업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옵티미즘 재단, 3/16 메인넷서 베드록 업그레이드 진행 제안]
이더리움(ETH) 레이어2 확장성 네트워크 옵티미즘(OP) 재단이 2일 공식 커뮤니티에서 한국시간 기준 3월 16일 2시 메인넷서 탈중앙화 롤업 아키텍처 베드록(Bedrock) 업그레이드를 적용하는 내용을 골자로한 거버넌스 제안을 발의했다. 이와 관련 옵티미즘 재단은 "베드록 프로토콜 업그레이드는 메인넷의 트랜잭션 처리 비용, 동기화 속도 등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가능하게 만든다. 업그레이드 진행 시 4시간 미만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업그레이드 이후에도 사용자는 이전 체인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특히 엔드 유저의 경우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옵티미즘은 앞서 지난달 골리 테스트넷에 베드록 아키텍처를 적용하는 업데이트를 진행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OP는 현재 21.73% 오른 2.6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룩온체인 "보이저 추정 주소, 코인베이스 등 거래소로 $320만 SHIB 이체"]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파산한 암호화폐 대출 업체인 보이저 디지털(VGX)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한 이더리움 주소에서 코인베이스, 크라켄, 바이낸스US 등 미국 거래소 주소로 320만 달러 상당의 SHIB 약 2,700억 개를 이체했다"고 분석했다. 현재 해당 주소에는 8,200만 달러 상당의 6.8조 SHIB이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 기준 SHIB은 현재 SHIB은 2.20% 오른 0.0000120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앱토스, v1.2 버전 메인넷 출시]
레이어1 블록체인 앱토스(APT)가 공식 깃허브 채널을 통해 앱토스 v1.2의 메인넷 출시를 발표했다. 해당 버전에서는 상태 동기화, 저대역폭 환경에서의 엑스포넨셜 백오프, 새로운 인티저 타입(u16, u32, u256)지원 등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APT는 현재 7.88% 오른 17.9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메인 2/3 ETC 채굴기 E9프로 출시]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기 제조사 비트메인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ETC 채굴기 E9프로(E9 Pro)가 3일(EST 기준) 출시된다고 발표했다. 가격은 1299달러(약 158만 원)로 사양은 3680M(해시레이트), 2200W(소비 전력), 0.6J/M(전력 효율)다. 채굴기 판매는 EST 기준 2월 3일 11시 시작된다. 비트메인은 지난해 7월 채굴기 E9를 출시한 바 있다.
['버핏 오른팔' 찰리 멍거 "암호화폐는 도박... 규제 위한 미 연방법 제정되어야"]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의 '오른팔'이자 오랜 사업 파트너인 찰리 멍거(Charlie Munger) 버크셔해서웨이 부회장이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논평을 기고, 암호화폐는 화폐도 상품도 증권도 아닌 겜블링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WSJ에 '미국이 암호화폐를 금지해야 하는 이유'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실으며 "암호화폐는 도박장이 100% 우위를 점한 도박에 불과하다. 최근 몇년 동안 미국 기업들이 수천 개의 암호화폐를 발행했고 이는 정부의 승인을 받지 않은 상태로 자유롭게 거래됐다. 암호화폐 구조에 대해 완전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투자자들은 이를 기존 가격보다 훨씬 높은 가격으로 구매했다. 미국은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새로운 연방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 공산당은 최근 암호화폐가 이익보다 해를 가져올 것이라며 이를 금지했다. 이러한 선례가 미국이 건전한 결정을 내리도록 안내 할 것이다. 중국 공산당의 비상식적이지만 훌륭한 선례에 감사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