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 25억 달러 감소…"장기 투자자 바닥 매수 가능성" 外

프로필
하이레 기자
댓글 50
좋아요 비화설화 0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 25억 달러 감소…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 25억 달러 감소…"장기 투자자 바닥 매수 가능성"]

크립토퀀트 기고자이자 비트코인 온체인 애널리스트 마튠(maartunn)이 "최근 비트코인(BTC) 가격 하락으로 인해 BTC 선물 미결제약정이 25억달러 감소했다. 전체 BTC 미결제약정의 25%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는 투기 세력이 이탈하고 장기 투자자들이 바닥 매수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번 BTC 급락은 FTX 붕괴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이라며 "단기 투자자들은 가격 변동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대만 경제부, 산업 분류 시스템에 암호화폐 추가]

대만 경제부가 산업 분류 시스템에 암호화폐 사업을 추가하기로 했다고 현지 미디어 중앙통신사가 전했다. 이에 따르면 암호화폐 사업 범위는 암호화폐 발행, 거래, 이체, 커스터디, 관리 등을 포함한다. 다만 암호화폐에는 디지털 형식의 대만달러, 중국 화폐 및 외화, 증권 및 기타 합법 금융자산은 포함되지 않는다. 일정 요건을 갖춘 사업자는 암호화폐 업계를 대변하는 협회 설립 자격을 갖게 된다. 해당 규정은 2개월간 고시 기간을 거친 뒤 정식 시행된다.

[사이퍼 "60만 달러 해킹 피해금, 중앙화 거래소서 동결"]

해킹 피해를 입은 솔라나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사이퍼(Cyper) 프로토콜이 X(구 트위터)를 통해 "60만달러 규모 피해금이 중앙화 거래소(CEX)에서 동결된 상태다. 집행기관의 압수수색 영장 발부 등에 따라 해당 자금의 반환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사이퍼 프로토콜은 지난 7일 100만달러 상당 해킹 피해를 입은 바 있다.

[분석 "오늘 급락장서 100만 달러 이상 BTC 대규모 거래 급증"]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샌티멘트(Santiment)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17일(현지시간) 비트코인 가격이 올들어 가장 가파른 급락세를 나타낸 가운데, 2만6600 달러 반납 전후로 100만 달러 이상 대규모 거래가 급증했다. 17일 온체인 상에 포착된 100만 달러 이상 대규모 트랜잭션은 총 207 건"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샌티멘트는 "10 BTC 이상 보유 주소 수는 이번 급락 전후에 큰 변동이 없었다. 이번 하락장에서 고래들은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분석 "BTC, 급락 전 온체인 지표서 하락 조짐 있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사이트 크립토퀀트(CryptoQuant)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지난 24시간 BTC 가격이 약 6.7% 급락한 가운데, 이를 예고하는 온체인 지표 상의 조짐이 있었다"고 진단했다. 크립토퀀트는 "비트코인 선물 시장 내 미결제 약정은 7월 중순 이후 증가 추세를 나타냈지만 가격은 하락해 숏 포지션이 늘어나고 있음을 암시했다. 또 이번 급락은 미국 시장 내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대에 발생했다. 급락 전후 고래 지갑들의 외부 이체가 활발했었다"고 설명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전체 거래소: 롱 47.1% / 숏 52.9% ▲1. 바이낸스: 롱 47.1% / 숏 52.9% ▲2. OKX: 롱 47.6% / 숏 52.4% ▲3. 데리비트: 롱 48.6% / 숏 51.4%이다.

[前 연준 부의장 "올해 금리 한 번 더 인상될 것"]

SBS에 따르면 리처드 클라리다 전 미연준 부의장은 CNBC 인터뷰에서 "현재 파월이 이끄는 연준은 지표 의존적이지만, 나는 어제 의사록을 읽은 후 이번 가을에 금리가 한 번 더 인상될 위험이 있다고 생각했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한다"며 "6월 경제전망요약(SEP)은 대부분의 위원들이 7월 금리인상과 한 번의 추가 인상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것을 보여 줬다"고 말했다.

[미 법원, '신현성 심문 및 차이코퍼레이션 문서 열람' SEC 요청 승인]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지방법원이 지난 16일(현지시간) 테라폼랩스 공동창업자인 신현성 전 차이코퍼레이션 대표 심문 및 차이코퍼레이션 문서 열람에 대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요청을 승인했다. SEC가 신 전 대표에게 질의할 내용은 ▲차이코퍼레이션에서 신 전 대표의 역할 ▲차이코퍼레이션에서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의 역할 ▲차이코퍼레이션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 ▲차이코퍼레이션의 결제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의 권 대표 참여 여부 ▲차이코퍼레이션과 테라폼랩스의 분리 이유 등이다. SEC는 7월 해당 내용을 요청하면서 "권 대표와 테라폼랩스, 차이코퍼레이션이 테라 블록체인을 이용해 거래를 처리하고 정산했으며 이를 허위로 홍보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메이커다오 커뮤니티, DAI 예치 보상률 8%→5% 인하 안건 상정]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DAI 발행 및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메이커다오(MKR) 커뮤니티가 DAI 예치 보상률(DSR, Dai Savings Rate)을 연간 8%에서 5%로 인하하는 집행 제안을 상정해 투표를 진행한다. 해당 제안이 통과되면 DSR은 3%p 낮아지며, ETH, wstETH, rETH와 같은 담보 자산에 대한 안정성 수수료도 인상된다. 투표는 오는 9월 16일 마감된다. 앞서 메이커다오 설립자 룬 크리스텐슨은 커뮤니티에 "최근 DSR 인상으로 DAI 홀더보다 ETH 고래에게 혜택이 돌아가고 있다"며 DSR 인하를 제안한 바 있다.

[아발란체, 8/26 AVAX 1.02억 달러 상당 언락]

토큰언락에 따르면 아발란체(AVAX)는 8월 26일(현지시간) 총 유통량의 2.77%인 954만 AVAX를 언락할 예정이다. 약 1.02억 달러 규모다.

[데이터 "BNB브릿지 해커, 비너스 프로토콜서 550만 달러 상당 담보 청산 및 상환"]

우블록체인이 X(구 트위터)를 통해 "BNB브릿지 해커 주소(0x48로 시작)가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 비너스(XVS)에서 담보로 맡긴 물량 중 약 1,104,936.45 vBNB(550만 달러 상당)이 청산되거나 상환됐다"고 전했다. 블록체인 전문 보안업체 펙실드에 따르면 해당 주소는 앞서 비너스 프로토콜에 약 920,000 BNB를 입금한 바 있다. 현재 해커 주소는 비너스 프로토콜에서 912,235.14 BNB를 담보로 1.12억 USDT, 3,675만 USDC 등을 대출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코인마켓캡 기준 현재 XVS는 10.44% 내린 3.6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바리움 개발팀 "브릿징 중단 자금 안전 보장"]

시바이누(SHIB)의 자체 개발 레이어2 블록체인 솔루션인 시바리움(Shibarium) 개발팀이 18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시바리움 브릿지에 일시적으로 묶여있는 자금은 안전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바리움 팀은 "시바리움 출시 후 막대한 트래픽이 유입됐고, 수 천 건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생성된 특정 블록이 감지되자 시스템은 안전 모드로 돌입해 자금 안전 확인을 위해 가동을 일시 중단했다. 시바리움이 재가동된 후 문제가 다시 발생할 경우 200만 달러 규모의 묶인 자금 전액을 보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데이터 "ETH 1480 달러 도달 시 디파이 담보 2.68억 달러 청산"]

우블록체인이 디파이 플랫폼 파섹(Parsec) 데이터를 인용 "지난 24시간 동안 디파이 청산 규모는 7,500만 달러를 돌파했으며 이는 올해 최대 청산 규모였다. 또 이더리움(ETH)이 1,480달러까지 하락하면 2.68억 달러 담보가 청산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5.69% 하락한 1,694.3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보안업체 "특정 고래 주소, AAVE서 287만 달러 상당 WBTC 담보 청산"]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가 X(트위터)에서 "0x47Ab로 시작하는 주소가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아베(AAVE)에서 106.8 WBTC(약 287만 달러) 규모의 담보 자산을 청산당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룩온체인은 "해당 고래 주소는 담보 청산을 인식하고 남아있는 담보를 출금 및 현금화해 부채를 상환하기 시작했다. 해당 주소의 아베 내 대출 포지션 건전성 비율(health rate)은 현재 1.03을 기록하고 있으며, 1,844만 달러 규모의 담보 자산이 청산 위기에 놓여 있다"고 설명했다. 건전성 비율 지표는 값이 1에 도달하면 담보로 맡겨둔 예치 자산의 청산이 시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블록타워캐피털, 코인베이스로 840만 달러 상당 ETH 이체]

룩온체인이 X(구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투자사 블록타워캐피털이 이번 시장 급락 후 5000 ETH(약 840만달러)를 코인베이스로 이체했다. 반면 또 다른 고래 주소 2개는 5631 ETH(950만달러)를 저점 매수했다"고 전했다.

[스테이블코인 스왑 플랫폼 일립시스, 시드 라운드서 330만 달러 투자 유치]

스테이블코인 스왑 플랫폼 일립시스(Ellipsis)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일렉트릭 캐피털(Electric Capital)이 주도하는 시드 라운드에서 33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는 솔라나(SOL) 랩스 최고경영자(CEO) 아나톨리 야코벤코(Anatoly Yakovenko), 폴리곤랩스 CEO 마크 브아론(Marc Boiron), 암호화폐 스타트업 모나드랩스 CEO 키온 혼(Keone Hon) 등도 참여했다. 투자금은 디파이 프로토콜 개발과 생태계 확장에 쓰일 예정이다.

[스타크넷 TVL, 이틀새 반토막...2.03억 달러→1.05억 달러]

레이어2 데이터 플랫폼 L2비트(L2BEAT)에 따르면 zk 롤업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스타크넷(STRK)내 암호화폐 락업 예치금(TVL)이 지난 16일 9시 2.03억 달러에서 18일 9시 기준 절반 가량 하락한 1.05억 달러를 기록했다.

[룩온체인 "특정 고래, 4일 전 4100만 달러 상당의 ETH 급처분...오늘 급락 피했다"]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이 "특정 고래 주소(0xB15485로 시작)가 한국시간 기준 14일 7시 20분 경 약 22,341 ETH(약 4,100만 달러 규모)를 바이낸스에서 매도해 오늘 시장 폭락을 피해갔다"고 분석했다. 룩온체인은 "해당 주소는 당시 거래로 170만 달러 상당의 손실을 입었지만, 결과적으로 손실을 줄이는 똑똑한 거래가 됐다. 그는 향후 보다 저렴한 가격에 ETH를 재매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맨틀네트워크, FTX·알라메다 보유 BIT→MNT 전환 미지원 제안]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이더리움 레이어2 솔루션 맨틀네트워크가 FTX와 알라메다리서치가 보유한 BIT 토큰의 MNT 전환을 지원하지 말 것을 커뮤니티에 제안했다. 2021년 알라메다는 1억 BIT를 362,315 FTT로 교환한 적 있으며 현재 9886만 BIT(4200만달러)를 보유 중이다.

[분석 "전날 아베 V3 이더리움 마켓서 953만 달러 상당 담보 청산 발생"]

암호화폐 ETP 발행사 21쉐어스(21Shares) 소속 애널리스트 톰완(Tom Wan)이 듄애널리틱스 데이터를 인용해 "1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아베(AAVE) V3 이더리움 마켓에서 953만 달러 상당의 담보 자산이 청산됐다. 이는 2023년 1월 V3 출시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일일 청산액"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아베에서 청산된 주요 담보 자산은 각각 507만 달러 상당 wstETH, 361만 달러 상당 WETH, 65.8만 달러 상당 WBTC 등이다.

[프랙스 커뮤니티, 100만 달러 규모 CRV 매입 제안 통과]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프랙스 파이낸스(Frax Finance) 커뮤니티가 100만 FRAX를 사용, OTC(장외거래)를 통해 커브 설립자로부터 CRV를 매입하자는 내용의 제안을 통과시켰다. 제안에 따르면 DAO 재무부는 매입한 CRV를 판매하지 않고 veCRV과 cvxCRV 담보로 제공해야 한다. 투표는 지난 13일 9시 20분(한국시간)부터 5일 동안 진행됐으며 찬성률 100%를 기록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비트코인($BTC), 단기 저항선 돌파 임박…12만 달러 테스트 현실화되나

비트코인($BTC), 단기 저항선 돌파 임박…12만 달러 테스트 현실화되나

댓글

댓글

5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5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토큰부자

2023.08.20 10:04:33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EDA

2023.08.20 09:20:3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bm장미

2023.08.20 08:27:01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크라운

2023.08.20 08:26:04

좋은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tpwn

2023.08.20 02:27:44

감사합니다.잘 읽었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bityou

2023.08.19 23:32:4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우스코인

2023.08.19 22:54:29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tpwn

2023.08.19 21:47:20

정보 공유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이에스

2023.08.19 18:56:5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광부

2023.08.19 12:50:57

ㄱ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