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홍콩 의원, 비탈릭 초대..."암호화폐 친화 정책 지속될 것" 外

프로필
최덕수 기자
댓글 14
좋아요 비화설화 1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외신 "레미타노서 '해킹 의심' 대규모 인출 발생... 테더 주소 동결 조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지난 14일(현지시간) P2P 암호화폐 거래소 레미타노(Remitano)에서 해킹으로 의심되는 대규모 인출이 발생했다. 총 270만 달러 상당의 USDT, USDC, ANKR 등 암호화폐가 인출됐으며, 이에 테더는 해당 사건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는 주소 하나를 동결 조치했다. 이에 따라 140만 달러 상당이 동결됐다.

[미 하원 금융서비스위, 디지털달러 청문회 개최... 양측 주장 팽팽]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가 14일(현지시간) 디지털달러 관련 청문회를 개최한 가운데, 개인정보보호 문제와 혁신 리더십 등 상반된 주장이 이어졌다. 하원의원 프렌치 힐(French Hill)은 "CBDC가 다수의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는 놀라운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일부 사람을 제외하곤 의회 내 CBDC를 지지하는 의원이 없다"며 "CBDC 발행 프로젝트는 우선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또다른 하원의원 와일리 니켈(Wiley Nickel)은 "미국은 글로벌 금융 리더 자리를 지켜야 한다. 뒤처지거나 글로벌 영향력을 잃을 여유가 없다"며 "개인정보 보호 등 이슈가 있는 만큼 CBDC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늘 $5.75억 상당 BTC 옵션 만기]

암호화폐 옵션 거래소 데리비트에 따르면 한국시간 기준 9월 8일 17시 $5.75억 상당의 비트코인 옵션이 만기 도래한다. 풋/콜 비율은 0.74, 맥스페인(max pain, 가장 많은 옵션 매수자가 프리미엄을 잃는 가격대) 가격은 26,000달러다. 아울러 같은 시간 $2.53억 상당의 이더리움 옵션도 만기 도래한다. 풋/콜 비율은 1.09, 맥스페인 가격은 1,650달러다.

[뉴욕금융감독국 암호화폐 담당 부감독관 사임]

폭스비즈니스에 따르면 뉴욕주 금융감독국(NYDFS)의 암호화폐 부감독관인 피터 마튼(Peter Marton)이 오는 29일 사임한다. 마튼은 지난 2021년 12월 NYDFS에 합류해 암호화폐, 블록체인 시장 규제를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했다.

[FTX, 블록파이 파산 계획 재차 반대]

FTX가 챕터11 파산 보호를 신청한 암호화폐 대출업체 블록파이(BlockFi)의 파산 계획을 재차 반대했다고 블록웍스가 전했다. FTX 측은 블록파이가 채무액을 줄이기 위해 절차를 무시하고 파산 규정을 남용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FTX는 블록파이의 대출, 담보를 모두 회수하려 하고 있다. FTX는 지난 7월 6일에도 블록파이 파산 계획에 반대한다는 의견서를 뉴저지 주 법원에 제출하면서 10억 달러 이상의 자금이 분쟁에 휘말릴 수 있으며, 청구액이 줄어들 수 있음을 우려한 바 있다.

[바이낸스US, CEO 이어 법률 책임자 등 줄퇴사]

규제 당국과 법정 다툼을 앞둔 바이낸스의 미국 법인에서 경영진 사임이 이어지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은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크리슈나 유브바디(Krishna Juvvadi) 법률 수석과 시드니 마잘리아(Sidney Majalya) 최고리스크책임자가 바이낸스US를 떠났다고 보도했다. 유브바디는 미국 법무부 시민권 부서에서 재판 변호사 출신으로, 지난해 5월 우버에서 바이낸스US로 이직했다. 마잘리아는 인텔 최고준법책임자로 지내다가 2021년 12월 바이낸스US에 합류했다.

[홍콩 의원, 비탈릭 초대..."암호화폐 친화 정책 지속될 것"]

홍콩 입법회 우제좡 의원이 X(구 트위터)를 통해 "홍콩의 암호화폐 정책은 매우 안정적이다.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가 홍콩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그를 홍콩에 초대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비탈릭이 싱가포르 토큰2049 행사에서 홍콩 암호화폐 친화 정책의 지속 가능성을 의심하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한 코멘트다. 우제좡 의원은 "비탈릭의 홍콩 정책 관련 발언을 존중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 것 같다. 홍콩은 일국양제 정책에 따라 중국과 별개의 입법권을 가지고 있고, 법률 제정 절차가 잘 정립된 특별행정구다. 따라서 암호화폐 친화 정책은 바뀔 수 없으며, 안정적이다. 우리는 글로벌 암호화폐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 기업이 홍콩에서 기회를 모색하는 것을 환영한다. 비탈릭이 홍콩에 방문해 이를 확인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홍콩 스테이블코인 규제, 디파이 파생상품 위축 우려…'사실상 거래 불가'

홍콩 스테이블코인 규제, 디파이 파생상품 위축 우려…'사실상 거래 불가'

이더리움($ETH), RSI 14.5까지 급락…과매도 구간 진입에 단기 반등 기대

이더리움($ETH), RSI 14.5까지 급락…과매도 구간 진입에 단기 반등 기대

댓글

댓글

14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빅리치

2023.09.18 10:33:02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블루레인

2023.09.16 02:30:04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09.15 22:30:27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3.09.15 20:00:3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우스코인

2023.09.15 19:22:05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3.09.15 18:07:36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선우할매

2023.09.15 16:22:3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에드워드김

2023.09.15 15:05:07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허기베어

2023.09.15 14:40:5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그름

2023.09.15 13:06:07

굿뉴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