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코인 예치금 비율 높다' 지적에 금감원장 "실태 파악하겠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실명 계좌를 제공하고 케이뱅크가 총수신 대비 가상자산 예치금 비율이 최대 70%에 달해, 다른 거래소에 계좌를 제공하는 타 은행 대비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에 대해 "실태를 정밀하게 파악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종합감사에서 '가상자산 거래소 연계 은행 중 대부분이 총수신 대비 가상자산 예치금 비율이 0.2% 등 소수점 이하에 불과한데 케이뱅크는 업비트의 법인까지 포함하면 70%에 달한다'라는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대해 "다소 쏠림 현상이 있는 부분을 인식하고 있다"고 답했다.
[금융위원장 "법인·기관의 코인 투자 허용, 신뢰 생기면 적극 고려"]
뉴스1에 따르면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국내에서 금지돼 있는 '법인·기관의 가상자산(암호화폐) 투자를 허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이번에 마련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이 (시행) 이후, 고객 신뢰 등이 안정되면 그때 조금 더 적극적으로 생각해보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종합감사에서 '법인과 기관의 투자를 허용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지 않나'라는 질의에 "허용했을 시 일어날 문제점과 이점에 대해 고민해보겠다"고 밝혔다.
[밈랜드, MEME 토큰 세일 종료...$1567만 조달]
이더스캔 데이터에 따르면 NFT 프로젝트 밈랜드(Memeland)가 자체 토큰 밈(MEME)의 토큰 세일을 통해 총 1,567만 달러(8737 ETH)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이 토큰은 NFT 제작자를 지원하는 토큰으로, 밈랜드가 구축한 소셜파이 플랫폼에서 사용된다.
[윈터뮤트, 바이낸스로 400만 ARKM 입금]
블록체인 분석업체 스코프스캔에 따르면 약 1시간 전 윈터뮤트 추정 주가 400만 ARKM을 바이낸스로 이체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ARKM은 4.02% 내린 0.37달러에 거래 중이다.
[외교부, 가상자산 탈취 방지역량 아세안 국가에 전수]
연합뉴스에 따르면 정부가 북한의 사이버 범죄 주요 타깃인 아세안 국가들에 암호화폐 탈취에 대응하기 위한 역량 전수에 나섰다. 외교부는 북핵외교기획단과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아세안 국가 대상 가상자산 탈취 대응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연수 프로그램은 북한이 가상자산 서비스 사업자와 거래소 등을 대상으로 가하는 사이버 공격 사례와 수법, 이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사이버 보안 강화 방안, 정부 차원의 법·제도 개선 방안 등으로 구성됐다.
[웹3 게임 스튜디오 문베일 엔터테인먼트, $540만 시드투자 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웹3 게임 스튜디오 문베일 엔터테인먼트(Moonveil Entertainment)가 시드 라운드에서 54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투자는 구미 크립토 캐피털(Gumi Cryptos Capital)과 아케인 그룹(Arcane Group)이 주도했으며 롱해시, IOSG, 인피니티 벤처 크립토 등이 참여했다. 문베일은 디펜스 모바일 게임 아스트랙(Astrack)과 멀티플레이어 전략 게임 프로젝트 B(Project B)를 개발 중이다.
[윈터뮤트, 바이낸스로 100만 ARB 입금]
블록체인 분석업체 스코프스캔에 따르면 7시간 전 윈터뮤트가 100만 ARB(약 $94.7만)를 바이낸스로 이체했다. 윈터뮤트는 지난 주 775만 ARB(약 $686만)를 바이낸스로 이체한 바 있다.
[분석 "FTX 보유 $4.17억 GBTC 처분 시 할인율 커질 수도"]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FTX가 보유 중인 4.17억달러 상당 GBTC가 매물로 나올 경우 GBTC 할인율이 확대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반 뷰렌 캐피털의 스콧 존슨은 "자산 매각 등 FTX 구조조정 계획은 내년 2분기 전까지 확정될 가능성이 별로 없다. 만약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그 전에 GBTC의 비트코인 현물 ETF 전환 승인을 해준다면 BTC 가격을 추종해야 하는 ETF 특성상 할인(디스카운트)이 발생하기 어렵다. 반면, SEC가 그때까지 전환 승인을 해주지 않는다면 FTX 자산 매각으로 인해 GBTC 할인율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BTC·ETH 옵션 명목 미결제약정 $200억 돌파...2년래 최대]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데리비트에서 거래되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옵션의 명목 미결제약정 금액이 2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비트코인이 현재 가격보다 90% 높았던 66,000달러일 때와 비슷한 수준이다. 데리비트에서는 전 세계 암호화폐 옵션 거래의 90%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만 암호화폐 특별법, 입법회 1차 독회 통과]
더블록에 따르면 대만 입법회가 현지 최초 암호화폐 특별법을 1차 독회에서 통과시켰다. 해당 특별법은 지난달 장융창 입법회 의원이 발의한 것으로, 암호화폐 라이선스 의무화, 파생상품 서비스 제공 허용, 고객 자산-운영 자산 분리 보관 등 규정이 포함돼 있다. 2차 독회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대만 의원들의 임기가 내년 1월 끝나기 때문에 그전까지 독회가 추가로 열리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매체는 설명했다.
[아발란체 코티나 14 출시]
아바랩스 엔지니어링 VP Patrick O'Grady는 아발란체 코티나(Cortina)14가 출시됐다고 밝혔다. 이번 버전에는 검증인 세트 관리 재설계, PebbleDB 구현 등 기능이 추가됐다.
[센스파이낸스 “운영 종료 결정…12/1까지 출금해야”]
이더리움(ETH) 기반 디파이 프로토콜 센스파이낸스(Sense Finance)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18개월간의 운영 끝에 프로토콜을 잠정적으로 종료하고 UI를 오픈소스화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디파이 시장에서 고정금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부족하다는 게 이번 결정의 주된 이유다. 센스파이낸스는 이용자들에게 "12월 1일(현지시간)까지 출금하라"고 당부했다.
[콘플럭스, 홍콩 테크노밸리에 사무소 개설]
콘플럭스(CFX)가 최근 홍콩 테크노밸리 사이버포트에 홍콩 사무소를 개설했다고 야후파이낸스가 전했다. 콘플럭스는 조만간 홍콩에서 블록체인 SIM카드 파일럿 테스트를 시작할 예정이다. 앞서 콘플럭스는 중국 이동통신사 차이나 텔레콤과 블록체인 SIM카드 출시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인도 중앙은행, 디지털 루피 거래에 인센티브 제공]
로이터가 소식통을 인용해 인도 중앙은행(RBI)이 디지털 루피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센티브는 캐시백이나 리워드 포인트 등으로 부여된다. 소식통은 “RBI가 연말까지 디지털 루피 일일 거래 건수 100만건을 목표로 했지만 현재 일일 소매 거래 건수는 2.5만건 수준이다. 현지 은행인 ICICI 뱅크, 유니언뱅크오브인디아 등도 조만간 인센티브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페페 “$20만 상당 PEPE, USDT로 환전…파트너십 비용 충당”]
밈 코인 페페(PEPE) 팀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1,690억 PEPE(약 20만 달러)가 USDT로 환전됐다. 이는 앞으로 몇 주 안에 발표할 전략적 파트너십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더파이, 폴리곤 zkEVM서 스테이킹 서비스 출시]
비수탁형 이더리움(ETH) 유동성 스테이킹 플랫폼 이더파이(Ether.Fi)가 폴리곤 zkEVM에서 스테이킹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미디움을 통해 밝혔다. 이용자는 폴리곤 zkEVM에서 ETH를 스테이킹하고 weETH를 발행할 수 있다. 수수료는 무료다.
[분석 "거래소 BTC 잔액 5년래 가장 적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매트 웰러(Matt Weller) Forex.com 글로벌 마켓 총괄이 "암호화폐 거래소 BTC 잔액은 현재 230만개로 2018년 4월 이후 최소치다"고 진단했다. 그는 "거래소 BTC 잔액은 2020년 5월 320만개, 1년 전 260만개를 기록했었다. 시장 공급이 줄어들면 수요가 조금만 증가해도 BTC 가격이 크게 상승할 수 있다. 아울러 10년간 이동하지 않은 BTC 물량도 300만개를 기록했다는 점도 긍정적 요소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FTX·알라메다 주소, 현재까지 $5900만 암호화폐 이체]
룩온체인은 "10월 27일 기준 FTX/알라메다 관련 주소가 총 5900만 달러를 이체했다"고 전했다. 현재 주소에 남아있는 암호화폐 가치는 $6.19억 상당이다.
[특정 고래, $6.49억 상당 BTC 새 주소로 전송]
펙실드에 따르면 특정 고래 주소가 오늘 19,000 BTC(6.49억 달러)를 새 주소로 전송했다. 해당 주소는 11개월 전 19,000 BTC(당시 3.1억 달러)를 이체 받았다.
[네오-웹3 랩스, $1천만 규모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출시]
네오(NEO)가 웹3 랩스와 함께 1000만 달러 규모의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프로그램은 오는 11월 27일까지 신청을 접수 받으며, 최종 선정된 프로젝트는 3개월 동안 기술 및 비즈니스 자문 등의 지원을 받게 된다. 아울러 네오는 현재 MEV 공격을 예방하면서 EVM과 호환되는 사이드 체인도 구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해당 체인은 올해 말 출시될 예정이다. MEV는 밸리데이터가 블록체인 트랜잭션이 기록되는 순서를 조정/최적화해 얻을 수 있는 추가 수입의 양을 말한다.
[FTX·알라메다 관련 주소, $650만 상당 암호화폐 거래소로 입금]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스팟온체인이 X(구 트위터)를 통해 "FTX와 알라메다 관련 주소가 650만 달러 상당의 UNI, DYDX, SUSHI, LDO를 2개의 중간주소를 거쳐 거래소로 입금했다"고 전했다.
[영국 '비트코인 매수' 구글 검색량, 7일간 826% 급증]
코인텔레그래프가 크립토갬블링티비 조사를 인용, 영국에서 '비트코인 매수(Buy Bitcoin)' 구글 검색량이 지난 7일간 826% 급증했다고 전했다. 구글트렌드 데이터에 따르면 '지금 비트코인을 구매해야 할까요'라는 질문은 미국인들이 가장 많이했고, '피델리티에서 비트코인을 구매할 수 있나요' 등의 질문도 다수 존재했다. 또한, '블랙록 비트코인 ETF' 키워드도 검색 상위권에 올랐다.
[셀러 네트워크, c브릿지·메시징IM서 스크롤 지원]
이더리움 레이어2 확장성 프로젝트 셀러 네트워크(CELR)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자체 개발 크로스체인 브릿지인 c브릿지(cBridge)와 메시징 프레임워크(Celer IM)에서 이더리움 zkEVM 확장성 프로젝트 스크롤(Scroll) 메인넷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스크롤과 이더리움, BNB체인 간 크로스체인 ETH 브릿징이 지원된다.
[의견 "레이어제로 wstETH 브릿지, 라이도DAO 공식 브릿지 아냐"]
크로스체인 메시징 프로토콜 레이어제로(LayerZero)가 라이도(Lido) wstETH 브릿지를 최근 출시한 가운데, 출시 전 라이도DAO의 승인을 받지 않아 논란이 제기됐다고 블록웍스가 전했다. 라이도 시드 투자자 하트 램버는 "레이어제로는 해당 브릿지가 마치 라이도의 공식 브릿지인 것처럼 포장했다. 하지만 라이도는 이를 승인한 적 없다. 이 브릿지는 감사를 받지 않아 보안도 검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라이도DAO가 이 브릿지 배포를 막으려면 소송을 제기하는 것 외에 실질적 수단이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레이어제로는 라이도DAO 포럼에 wstETH 브리지 구축 소식을 알리며 이를 공식 승인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라이도DAO 측은 반대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미국 청년 38%, '암호화폐는 금융의 미래'"]
코인텔레그래프가 코인베이스 보고서를 인용, 젊은 세대의 38%가 암호화폐를 금융의 미래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기성세대에서는 이 비중이 28%였다. 청년들은 높은 주택 비용, 인플레이션, 낙후된 금융 시스템 때문에 아메리칸 드림을 성취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방법 대신 새로운 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유권자의 51%는 2024년 미국 대선에서 암호화폐에 우호적인 후보를 지지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FTX 추정 주소, 여러 거래소로 $1580만 상당 암호화폐 이체]
블록체인 보안업체 펙실드가 X(구 트위터)를 통해 “FTX로 라벨링 된 주소에서 1580만달러 상당 암호화폐가 여러 거래소로 이체됐다. 37.1만 SOL, 770만 MATIC은 크라켄, 코인베이스, OKX로 이체됐고 79.5만 LINK는 코인베이스로 이체됐다"고 전했다.
[마라톤 디지털, 7억 5000만 달러 조달 계획]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암호화폐 채굴업체 마라톤 디지털(MARA)이 하이브리드 주식 공모로 최대 7억 5000만 달러를 모금할 계획이라고 미국 SEC에 신고했다. 마라톤 디지털은 현재 13726개의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월 1000개 이상의 BTC를 채굴하고 있다.
[지난 3일간 팔콘X서 $852만 MKR 유출]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더 데이터너드(The Data Nerd)가 X를 통해 "지난 3일 동안 중앙화 거래소 팔콘X에서 5690 MKR(약 $852만)가 여러 중앙화 거래소로 이체됐다. 현재 팔콘X MKR 잔고는 1만150 MKR(약 $1417만)이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