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지를 통한 자산 이동 흐름에서 이더리움은 7억 달러 이상의 유입과 유출을 동시에 기록했다. 순유입 규모 기준으로는 폴리곤과 아비트럼, 베이스 등 레이어2 중심 체인들이 상위권을 차지하며 탄탄한 수요 기반을 보여주고 있다.
유입(Inflows) 상위 체인
23일 기준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 아르테미스에 따르면 최근 7일간 가장 많은 브리지 자산 유입을 기록한 체인은 이더리움으로, 총 7억600만 달러의 자금이 유입됐다.
뒤이어 ▲베이스(2억7045만 달러) ▲폴리곤 PoS(1억9268만 달러) ▲아비트럼(1억7952만 달러) ▲솔라나(8985만 달러) 순으로 높은 유입세를 보였다.
또한 ▲유니체인(6288만 달러) ▲OP 메인넷(5367만 달러) ▲베라체인(3237만 달러) ▲아발란체 C-체인(3121만 달러) ▲스타크넷(2838만 달러) 순으로 높은 유입세를 보였다.
유출(Outflows) 상위 체인
같은 기간 가장 많은 자금 유출이 발생한 체인도 이더리움이었다. 7억9100만 달러가 빠져나가며 유입 규모를 상회했다.
그 외에도 ▲베이스(2억5823만 달러) ▲유니체인(1억4882만 달러) ▲아비트럼(1억1984만 달러) ▲폴리곤 PoS(1억5999만 달러)도 상위권을 형성했다.
이어 ▲솔라나(9277만 달러) ▲베라체인(7223만 달러) ▲OP 메인넷(4681만 달러) ▲아발란체 C-체인(3342만 달러) ▲스타크넷(2515만 달러) 순으로 유출 규모가 컸다.

순유출입(Net Flows) 상위 및 하위
순유입 기준 상위 체인은 ▲폴리곤(+8689만 달러) ▲아비트럼(+5968만 달러) ▲베이스(+1222만 달러) ▲OP 메인넷(+685만 달러)이 상위권에 올랐다.
반대로 순유출 규모가 가장 컸던 체인은 ▲유니체인(–8594만 달러) ▲베라체인(–3986만 달러) ▲이더리움(–1억3049만 달러) ▲zkSync Era(–379만 달러) ▲블라스트(–356만 달러)로, 자금 회수 흐름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더리움은 유입과 유출 모두에서 압도적인 수치를 기록하며 여전히 브리지 네트워크의 중심 축으로 기능하고 있지만, 순유출 규모가 1억3000만 달러를 넘어서며 투자자들의 단기 유동성 회수 움직임이 가시화된 상태다. 이는 스테이킹 출금, ETH 기반 자산의 재배치 등 복합적인 수요 변화와 맞물린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폴리곤·아비트럼·베이스·OP 메인넷 등 레이어2 계열 체인들은 순유입 흐름이 유지되고 있어, 브리지 기반의 실사용 수요와 생태계 확장세가 여전히 견고함을 시사한다. 특히 폴리곤과 아비트럼은 높은 유출에도 유입이 이를 상회해, 실질적인 유동성 유입이 이뤄지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