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JP모건 분석, 올해 디지털 자산 유입 600억 달러 달성으로 작년 기록 갱신 전망

프로필
이준한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JP모건 분석가들이 올해 디지털 자산 유입이 600억 달러에 도달했다고 추정했으며, 지니어스법과 클래리티법 등 호의적인 미국 규제 환경이 작년 기록 갱신을 이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JP모건 분석, 올해 디지털 자산 유입 600억 달러 달성으로 작년 기록 갱신 전망 / 셔터스톡

JP모건 분석, 올해 디지털 자산 유입 600억 달러 달성으로 작년 기록 갱신 전망 / 셔터스톡

JP모건 분석가들의 추정에 따르면 암호화폐 펀드 플로우, CME 선물 활동, 벤처캐피털 펀드레이징의 혼합으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자본 유입이 올해 현재까지 600억 달러에 도달했으며, 분석가들은 유입액이 5월 말 이후 거의 50% 증가했고 작년 기록적인 총액을 편안하게 넘어설 궤도에 있다고 밝혔다.

24일(현지시간) 더 블록에 따르면, JP모건 분석가들이 암호화폐 펀드 플로우, CME 선물 활동, 벤처캐피털 펀드레이징을 통해 디지털 자산에 대한 자본 유입이 올해 현재까지 600억 달러에 도달했다고 추정한다고 발표했다.

전무이사 니콜라오스 파니기르초글루(Nikolaos Panigirtzoglou)가 이끄는 분석가들은 더 호의적인 미국 규제 환경을 핵심 촉매로 꼽았다. 분석가들은 의회가 최근 통과시킨 지니어스법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오랫동안 기다려온 명확성을 제공하고 효과적으로 글로벌 표준을 설정한다고 썼다.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이 미국 달러로 표시되면서 다른 국가들이 경쟁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은 디지털 위안 출시를 진전시키고 있으며, 홍콩에서는 위안 스테이블코인이 준비 중이라고 분석가들은 말했다.

또 다른 미국 입법 노력인 클래리티법은 의회를 통과하고 있으며 디지털 자산을 증권 또는 상품으로 분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가들에 따르면 이 법안은 특히 유럽연합의 암호화폐자산시장(MiCA) 규정과 비교해 미국을 암호화폐 네이티브 기업들에게 더 매력적인 목적지로 만들 수 있다.

개선되는 정책 배경은 이미 사모와 공모 암호화폐 시장 모두에서 활동을 촉진하고 있다. 벤처 측면에서 암호화폐 VC 펀딩이 증가했다고 그들은 말했다. 공개 시장도 새로운 모멘텀을 보였으며, 분석가들은 서클(Circle)의 최근 성공적인 IPO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대한 새로운 신청서 급증을 강조했다. 분석가들은 회사들이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추구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스트래티지(Strategy, 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주가가 비트코인 보유량 가치에 대해 계속해서 상당한 프리미엄으로 거래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알트코인에 대한 투자자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분석가들은 이더리움이 탈중앙화 금융(DeFi)과 스마트 계약에서의 지배력과 비트코인과 함께 기업 재무부에 점점 더 많이 포함되고 있기 때문에 주요 수혜자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또한 알트코인을 기반으로 하고 스테이킹 구성 요소를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ETF 출시에 대한 자산 관리사들의 관심 증가를 지적했다.

분석가들은 더 광범위한 대안 투자 공간에서 디지털 자산과 헤지펀드가 올해 가속화된 유입을 보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이는 사모펀드와 사모신용의 약한 펀드레이징 환경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디스나

2025.07.25 11:23:5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