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살바도르 정부의 비트코인(BTC) 보유 전략이 일반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국제통화기금(IMF)과의 대출 계약이 향후 정부의 비트코인 정책을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비영리 단체 ‘마이퍼스트비트코인(My First Bitcoin)’의 퀜틴 에른만(Quentin Ehrenmann) 총괄은 최근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이를 지적하며, 현재 엘살바도르 내 공적 비트코인 교육이나 국가 주도의 확산 노력이 사실상 중단됐다고 밝혔다.
에른만은 “정부가 IMF와 계약을 체결한 이후 비트코인은 더 이상 법정통화가 아니며, 그와 동시에 교육이나 확산을 위한 이렇다 할 움직임이 사라졌다”며 “정부는 여전히 비트코인을 축적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정부에 유리한 전략이지 국민에게 직접적인 이익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엘살바도르는 앞서 IMF와 체결한 협약을 통해 새로운 비트코인 매입을 중단하기로 약속했다. 이는 최근 공개된 IMF 보고서를 통해 공식 확인된 내용으로, 엘살바도르 비트코인국(Bitcoin Office)이 “국가는 매일 BTC를 매입 중”이라고 주장한 것과는 정면으로 배치된다.
엘살바도르는 2021년 전 세계에서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채택하며 주목을 받았지만, IMF와의 금융 안정성 확보 협상이 이어지며 법적 지위는 철회된 상태다. 비트코인 축적은 계속되고 있지만, 대중 참여나 인프라 교육 없이 진행되는 현 정책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의문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