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금융당국이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다음 달 내놓을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투자자 보호와 레버리지 상품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나온 조치로 풀이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에 대한 규제 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공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결정은 최근 업비트와 빗썸 등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잇따라 대출 상품을 선보인 데 따른 대응 조치다.
빗썸은 이용자에게 담보 자산의 최대 4배까지 대출을 허용하고 있으며, 업비트 역시 보유 자산 가치의 최대 80%까지 암호화폐를 빌려주는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에 따라, 극심한 가격 변동성이 특징인 암호화폐 시장에서 투자자 손실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당국은 이번 공동 태스크포스 구성을 통해 명확한 감독 기준을 제시하고, 투자자 보호 장치를 보완하겠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레버리지 기반의 대출이 새로운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는 만큼, 시장 안정성과 이용자 보호를 함께 고려한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친(親) 암호화폐 행보와 미 규제 완화 기조와는 상반된 접근으로 한국의 보수적 금융 정책이 반영된 결과로도 해석된다. 국내 암호화폐 업계는 새 가이드라인이 실제 시장 점검과 어떻게 연결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