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에 우호적인 제도와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국가들이 2025년에도 디지털 자산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비트코인(BTC) 투자자와 블록체인 창업자들은 보다 나은 조세 환경을 찾아 전 세계를 고려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새로운 ‘크립토 낙원’ 국가들의 부상을 이끈다.
대표적인 사례가 케이맨 제도다. 전통적인 역외 금융 허브인 이 나라는 소득세는 물론, 양도소득세와 법인세도 전혀 부과하지 않는다. 디지털 자산 거래와 보유, 디파이(DeFi) 운영으로 발생한 이익도 마찬가지다. 여기에 오는 2025년 4월부터 전면 시행 예정인 가상자산사업자(VASP) 라이선스 제도는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규제를 제공한다. 이는 암호화폐 거래소나 커스터디 서비스 업체 등이 합법적으로 사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중동 지역에서는 아랍에미리트(UAE)가 눈에 띈다. 두바이를 포함한 전 지역에서 암호화폐 소득에 대한 세금이 전면 면제되며, 정부는 명확한 규제 틀로 시장 참여자들의 신뢰를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아부다비 글로벌 마켓(ADGM)과 두바이 가상자산규제청(VARU) 등 권위 있는 감독기관들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기준을 기반으로 투자자 보호에 주력하고 있다.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채택한 첫 사례로, 모든 암호화폐 활동에 세금 면제를 적용한다. 나이브 부켈레(Nayib Bukele) 대통령 주도로 비트코인 도시 개발이 추진 중이며, 채굴을 위한 인프라 확대, 주식 발행을 통한 투자 유치 등 다양한 국가 차원의 프로젝트도 추진 중이다. 법적으로 보장되는 세제 혜택과 함께 현지 채택률 또한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유럽 내에서는 독일과 포르투갈이 대표적인 조세 혜택 국가로 꼽힌다. 독일은 개인이 암호화폐를 1년 이상 보유하면 매각 시 세금을 아예 부과하지 않는 구조다. 이는 유럽연합(EU) 국가 중 드물게 장기 보유에 대한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사례다. 포르투갈의 경우도 오랜 기간 ‘크립토 프렌들리’ 국가로 인정받아왔다. 최근 일부 규제 강화 움직임이 있었지만, 장기 보유로 인한 자본이득은 여전히 면세 대상에 해당하며, 외국인을 위한 비거주자 특별세(NHR) 프로그램을 통해 이민자들에게 세제 우대를 제공하고 있다.
암호화폐 과세에 대한 글로벌 수준의 규제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국가는 여전히 법적 안정성과 세금 부담 없는 환경을 무기로 디지털 자산 투자자들을 유치하고 있다. 2025년에도 케이맨 제도, UAE, 엘살바도르, 독일, 그리고 포르투갈은 비트코인 중심의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서 눈여겨볼 최적의 조세 전략지로 부상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