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가족이 직접 연관된 암호화폐 프로젝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에서 주요 토큰 락 해제가 이뤄진 직후, 트럼프 일가의 지분 가치는 약 5조 원(36억 달러)까지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파衝죽은 동시에 디리버티브 시장에서도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 관련 미결제약정이 약 1조 3,205억 원(9억 5,000만 달러)에 달하며 파생상품 시장에까지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는 와중에도, 크립토 펀드에는 약 3조 4,750억 원(25억 달러)의 신규 자금이 유입되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뒷받침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연계된 지배구조 단체인 ‘DT Marks DEFI LLC’와 일부 가족 구성원 명의로 225억 개의 WLFI 토큰을 보유한 것으로 기록된 가운데, 이번 주 월요일 246억 개의 신규 토큰이 락 해제되며 유통시장에 진입한 사실이 공식 발표됐다. 해당 조치는 최초 유통량을 형성하기 위한 로드맵 상의 계획에 따라 진행된 것으로, 락 해제 직후 WLFI 가격은 한때 0.40달러(약 556원)까지 치솟았으나, 이후 0.21달러(약 292원) 수준으로 조정됐다.
WLFI 프로젝트는 지난 2024년 9월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캠페인을 재개하는 시점과 맞춰 공식 런칭됐다. 트럼프 대통령 본인뿐만 아니라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막내 아들 배런 트럼프, 차남 에릭 트럼프도 이 프로젝트에 이름을 올리며 가족 전체가 공동 후원자로 나섰고, 초기 토큰은 잠정적으로 락업 상태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락 해제를 통해 트럼프 가족의 WLFI 보유분은 약 5조 원 규모로 평가되며, 추후 시장에서 다시 유동성 확보와 관련한 논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월드 리버티는 트럼프 대통령과 연계된 또 다른 코인 ‘오피셜 트럼프(TRUMP)’ 밈코인, 비트코인 채굴 기업 등과 함께, 최근 미 의회에서 금융 구조를 통해 정부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단이라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야당과 여당 모두 트럼프 가족이 관여된 블록체인 자산에 대해 이해충돌 문제를 제기하며 규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시장 전반의 조정세와는 별개로 암호화폐 투자 상품은 강한 자금 유입을 보이며 투자 심리 회복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최근 코인셰어스(CoinShares)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디지털 자산 펀드에는 총 25억 달러(약 3조 4,750억 원)의 자금이 유입됐다. 이는 전주에 발생했던 14억 달러(약 1조 9,460억 원) 상당의 유출을 상쇄하는 규모로, 특히 상장지수상품(ETP)이 24억 8,000만 달러(약 3조 4,472억 원) 이상을 흡수하며 기관 및 개인투자자 모두의 관심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을 포함한 주요 자산 가격이 변동성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이번 주의 자금 유입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장기적 신뢰감이 여전함을 방증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는 최근 트럼프 프로젝트와 같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시장의 펀더멘털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가 여전히 살아있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