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볼린저 "이더리움·솔라나, W형 바닥 형성...시장 강세 반전 가능성"

프로필
서도윤 기자
댓글 4
좋아요 비화설화 4

기술적 분석가 존 볼린저가 이더리움과 솔라나의 W형 패턴 형성을 지목하며 주요 암호화폐의 강세 반전 가능성을 언급했다. 비트코인도 유사한 움직임을 보일 경우 시장 전반 랠리가 전망된다.

 볼린저

볼린저 "이더리움·솔라나, W형 바닥 형성...시장 강세 반전 가능성" / TokenPost.ai

테크니컬 분석의 대가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볼린저 밴드 차트상에서 이더리움(ETH)과 솔라나(SOL)의 ‘W형 바닥(potential W bottoms)’ 패턴 출현 가능성을 언급하며 시장의 변동성 확대를 예고했다. 이 패턴은 통상 강세 반전 신호로 해석되며, 특히 비트코인(BTC)에서도 유사한 구조가 형성될 경우 시장 전반에 걸친 상승 가능성이 제기된다.

볼린저는 지난 주말 자신의 X(구 트위터)를 통해 “곧 주목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더리움과 솔라나는 최근 각각 3,700달러(약 5,143만 원)와 175달러(약 243만 원) 선에서 두 차례 저점을 찍고 반등을 모색 중이다. 이는 전형적인 이중 바닥(double bottom) 형세로, 상승 전환의 초기 신호로 평가된다. 반면 비트코인은 최근 104,000달러(약 1억 4,456만 원) 아래로 급락한 뒤 회복했으며, 여전히 박스권 하단에서 기초적인 매수세 기반을 다지는 중이다.

이런 가운데 암호화폐 트레이더 ‘사토시 플리퍼(Satoshi Flipper)’는 지난 7월 볼린저의 유사한 발언 이후 비트코인이 55,000달러(약 7,645만 원)에서 100,000달러(약 1억 3,900만 원) 이상으로 상승한 점에 주목하며, 이번 지표 변화 또한 주의를 기울일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당시 볼린저는 “진정한 스퀴즈(Squeeze) 구간이며 핵심은 하단 밴드에서의 2봉 반전(two-bar reversal)”이라며 강력한 변동성 전조라고 분석한 바 있다.

실제로 지난 몇 개월간 조용했던 시장은 이번 달 들어 볼린저 밴드의 확장과 함께 다시 요동치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 주말 과도한 레버리지 청산 사태 이후 비트코인 시장의 변동성이 가파르게 늘어나며, 전문가들이 예견했던 일명 ‘변동성 폭풍(volatility storm)’이 현실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비트코인이 여전히 박스권 안에 머무르는 가운데, 이더리움과 솔라나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강세 반전 신호가 얼마나 시장 전체에 전이될지가 주요 관전 포인트다. 볼린저의 분석처럼 BTC 역시 W형 바닥 패턴을 따라간다면, 주요 암호자산 전반에 걸친 추가 랠리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4

추천

4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4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엠마코스모스

14:59

등급

빅리치

12:58

등급

toko21

12:27

등급

디스나

12:11

댓글 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10.19 14:59:4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5.10.19 13:12:5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빅리치

2025.10.19 12:58:1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10.19 12:11:1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