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David Schwartz)가 최근 XRP 레저(XRP Ledger)의 신뢰 검증 노드 리스트(UNL)에 관한 오해를 공식적으로 해명했다. XRP 네트워크의 핵심 구조 중 하나인 UNL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슈워츠는 시스템적인 오용 가능성을 일축하며, 노드의 합의 메커니즘과 네트워크 진전 방식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내놨다.
사건의 발단은 한 X(옛 트위터) 사용자가 자신의 XRP-GUI 지갑에서 기본 UNL 외의 다른 검증자 목록을 설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부터였다. 그는 “대다수 사용자들이 리플이 제공한 UNL에 의존하는데, 이 시스템을 리플이 임의로 조작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슈워츠는 리플 측이 UNL을 조작할 의도가 없음을 분명히 하며, “만약 네트워크 노드가 자신이 설정한 UNL의 검증자들과 의견 불일치를 보이면, 네트워크는 자연스럽게 멈추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UNL 자체가 네트워크의 합의 시스템 전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조작 가능성이 구조적으로 제한된다는 의미다.
UNL은 각 XRP 레저 서버가 신뢰할 수 있는 검증자 리스트로, 이 리스트를 통해 어떤 거래 블록을 수용하고 어떤 것은 무시할지를 결정한다. 서버 운영자는 UNL 구성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지만, 서로 완전히 다른 UNL을 가진 서버 간에는 합의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질적 UNL끼리의 갈등은 네트워크 분기(fork)로 이어질 수 있어, 대부분의 서버는 높은 수준의 UNL 중첩을 유지하도록 설계됐다.
슈워츠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XRP 레저가 권장 검증자 목록 시스템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XRP 레저의 기본 설정에는 두 개의 공식 검증자 목록이 포함돼 있다. 하나는 리플이, 다른 하나는 XRP 레저 재단이 각각 관리하고 있다. 이 중첩된 구조를 통해 리플은 시스템 운영에 개입하지 않으면서도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합의를 보장할 수 있는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해명은 리플이 XRP 레저 상에서 특정 권한을 무리하게 행사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나왔다. UNL의 투명성과 자율성에 대한 논리는 중앙 집중화 혐의를 벗고자 하는 리플 측의 방어 논거로 해석된다. 또한 XRPL 생태계 전반에 대한 기술적 신뢰 확보를 위한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