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바이낸스코인(BNB), 사상 최고가 돌파…전통금융과의 제휴로 '네 자릿수' 기대감 고조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5

BNB가 903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프랭클린템플턴과의 제휴로 1,000달러 돌파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는 전통금융 협력 강화와 시장 반등 흐름이 맞물린 결과다.

 바이낸스코인(BNB), 사상 최고가 돌파…전통금융과의 제휴로 '네 자릿수' 기대감 고조 / TokenPost.ai

바이낸스코인(BNB), 사상 최고가 돌파…전통금융과의 제휴로 '네 자릿수' 기대감 고조 / TokenPost.ai

바이낸스코인(BNB)이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소 1위 바이낸스의 대표 토큰으로서 다시 한 번 시장의 중심에 섰다. 최근 BNB는 장중 최고가인 903달러(약 125만 5,000원)를 터치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수년간 ‘넘을 수 없는 벽’이라 여겨졌던 가격대를 돌파한 기록으로, BNB의 향후 가격 궤적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이번 급등은 단기적인 변동성에 의한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글로벌 자산운용사 프랭클린템플턴과의 전략적 제휴 발표와 맞물려 일어난 사건이다. 양측은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의 경계를 허무는 협력 상품을 공동 개발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특히 BNB를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투자 상품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BNB의 실사용 사례와 시장 신뢰도를 더욱 강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바이낸스의 창업자이자 상징적 인물인 창펑 자오(Changpeng Zhao, CZ)는 이 같은 기록 경신에 대해 짧지만 강렬한 반응을 보였다. 그는 소셜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네 자릿수일 때 깨워 달라(Wake me up when it’s ____ digits)”는 메시지를 남겼다. BNB가 아직 세 자릿수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이 모호한 표현은 시장 투자자들 사이에 ‘1,000달러 이상(약 139만 원)’ 돌파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암시하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BNB의 상승세는 개별 호재에 그치지 않았다. 같은 시기 공개된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예상을 웃돌며 증시 및 디지털 자산 전반에 대한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했다. 이 때문에 BNB의 신고가는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반등 흐름과 맞물려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기록이 단순한 가격 수치의 돌파를 넘어 BNB의 입지를 재확인시켜 준 중요한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최근 비트코인(BTC) ETF 및 이더리움(ETH) 기반 금융상품에 자금이 쏠리는 가운데, BNB도 전통 금융과의 접점을 넓히며 체계적 확장을 시도하는 움직임은 눈여겨볼 만하다.

단기적으로 BNB의 조정 가능성에 대한 경계도 제기되지만, 중장기적으로 보면 정책 호재와 펀더멘털의 뒷받침 속에 네 자릿수 진입 가능성은 충분히 현실적인 목표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대형 자산운용사와의 협력이 가시화되면서, 향후 BNB가 디지털 자산과 전통 금융의 교차점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것인지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5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5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디스나

09:26

등급

광란의우덩

08:06

등급

광란의셔터

07:55

등급

StarB

07:54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9.11 04:58:2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