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약 1억 5,429만 원(111,000달러) 부근에서 횡보하는 가운데, 주말을 앞두고 유동성 하락이 예고되면서 가격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하락세 속 롱 포지션 청산이나 주말 장세의 얕은 거래량으로 인한 반등이 반복될 수 있어 주요 가격 지지 및 저항 구간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코인글래스(CoinGlass)가 공개한 청산 히트맵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유동성이 집중된 5대 핵심 가격 구간을 중심으로 방향성을 시험할 가능성이 높다. 하단에서 가장 중요한 지지선은 1억 5,012만~1억 5,067만 원(108,000~108,500달러) 범위다. 해당 구간은 가장 많은 롱 포지션 청산이 위치한 영역으로, 이탈 시 가격이 급락할 가능성이 커 단기적 두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그 중심에는 1억 5,290만 원(110,000달러) 지점이 자리한다. 이 구간은 과거 중립적인 가격 균형선 역할을 해왔으며 해당 가격선 위에 머무를 경우 시장 안정성을 시사하지만, 하회할 경우 다시 하단 유동성 구간을 테스트할 공산이 크다.
반대로, 상단에서는 1억 5,478만~1억 5,539만 원(111,500~112,000달러) 구간이 숏 포지션 청산이 몰려 있는 첫 번째 장벽이다. 이를 돌파할 경우, 1억 5,707만~1억 5,767만 원(113,000~113,500달러) 구간에서 본격적인 저항 매도 세력에 직면하게 된다. 해당 범위는 매수세가 이탈할 가능성도 있는 피로 누적 구간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민감한 숏 청산 클러스터는 1억 5,962만~1억 6,022만 원(114,500~115,000달러)이다. 이 구간까지 뚫으면서 강제 청산이 촉발될 경우 특히 주말과 같이 거래량이 약한 시기에는 1억 6,422만~1억 6,680만 원(118,000~120,000달러)까지의 급등도 가능한 시나리오로 언급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주말장 특성상 거래소의 호가창이 얇아 특정 구간에서의 순식간 폭락 또는 숏 스퀴즈가 발생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이 단기 이동평균 근처에서 정체된 상황이라면, 다음 변동 폭은 예상을 뛰어넘는 급격한 움직임이 될 수 있다.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전반적으로 관망세로 접어든 상태지만, 그만큼 유동성 격차가 만들어낼 가격 왜곡 가능성도 높다. 주요 청산 구간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