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미국 내 이더리움(ETH)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 연이은 자금 유출이 발생하며 투자심리의 냉각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이더리움 ETF는 수개월 간 강세 흐름을 이어왔지만, 최근 2주 연속으로 대규모 자금이 빠져나가며 시장 기대감이 한풀 꺾인 모습이다.
시장 데이터 플랫폼 소소밸류(SoSoValue)에 따르면, 6월 둘째 주 이더리움 현물 ETF 전반에서 발생한 순유출 규모는 2억 4,390만 달러(약 3,385억 원)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주 기록한 3억 1,100만 달러(약 4,320억 원) 규모 유출에 이은 연속 흐름으로, 두 주간 약 7,705억 원에 달하는 자금이 ETF 상품에서 이탈한 셈이다.
현 시점 기준, 전체 이더리움 현물 ETF 누적 유입액은 143억 5,000만 달러(약 19조 9,565억 원)에 달하지만, 총 순자산 규모는 263억 9,000만 달러(약 36조 6,421억 원)로 줄며 이더리움 전체 시가총액의 약 5.55%에 해당하는 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전략적 투자 자금이 중장기적 기대보다는 단기 매매로 이동하는 추세를 보여준다.
특히 지난 금요일 하루 동안 이더리움 ETF에서 9,360만 달러(약 1,302억 원) 규모 자금이 추가로 유출됐다. 이 중 블랙록($BLK)이 운용하는 ETHA ETF는 하루 만에 1억 99만 달러(약 1,394억 원)를 빼며 유출 규모 1위를 기록했다. 반면,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의 ETHE, 비트와이즈(Bitwise)의 ETHW 등 일부 상품은 소폭이지만 자금이 유입되며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ETF 상품 간 희비가 엇갈리는 이 같은 양상은 투자자들이 이더리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미국 대선 정국, 연준 통화정책 등 다양한 변수를 저울질하며 ETF 투자 전략을 유연하게 조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민감한 거시경제 이슈와 규제 이슈를 중심으로 이더리움 현물 ETF 시장의 흐름이 출렁일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