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을 비롯한 암호화폐 시장이 오랜 하락세에서 벗어나며 안정을 되찾고 있다. 주요 저항선을 돌파한 비트코인은 현재 시장 반등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여전히 조정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이번 주 초 비트코인은 단기 보유자들의 평균 매입 단가로 알려진 11만 3,600달러(약 1억 3,600만 원) 아래에서 거래되며 방향성을 탐색하고 있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 지표는 시장의 피로감을 나타내고, 매수세가 약화되는 조짐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협상 진전에 따라 마침내 저항선을 돌파하면서 시장 분위기는 회복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비트코인은 현재 약 11만 4,400달러(약 1억 3,700만 원)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단기 보유자 기준 가격인 11만 3,600달러를 유지할 수 있다면 점차 상승 구조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이 수준 아래로 다시 밀릴 경우 약 9만 7,500달러(약 1억 원) 수준까지 조정될 여지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비트파이넥스(Bitfinex)의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하락은 오히려 매도 압력의 소진을 의미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다음 상승 랠리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유사한 조정 패턴이 과거 주기에서도 반복된 만큼, 이번 국면도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조정일 수 있다는 평가다.
운용 환경의 변화도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통 자산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암호화폐는 일종의 ‘유동성 피난처’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원유 가격 상승과 일본 엔화 같은 주요 통화의 약세가 이어지면서, 투자자들은 리스크 분산 차원에서 암호화폐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금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채권이나 주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비트코인이 대체 투자처로 부각되면서, 시장 유입 자금이 점차 회복되는 양상이다.
코멘트: 비트코인이 정체 국면에서 다시 상승세로 전환될 수 있을지는 단기 보유자 기준 가격인 11만 3,600달러 유지 여부가 중요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시장 전반의 유동성과 거시경제 상황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가운데, 전통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성이 암호화폐 시장에 오히려 호재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