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급락하며 최근 거래 범위의 하단을 다시 시험했다. 그 여파로 약세장을 예상하지 못한 투자자들이 대거 청산되며 롱 포지션 청산 규모가 10억 달러(약 1조 원)에 육박했다.
현지 시간 4일 개장한 미국 증시는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하락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도 타격을 받았으며, 비트코인은 주간 기준 최저치로 밀려났다. 비트코인 가격이 확실한 반등 동력을 찾지 못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단기 리스크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가격 상승을 기대하며 롱 베팅에 나섰던 트레이더들이 큰 손실을 입었다. 데이터 제공업체 코잉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암호화폐 롱 포지션 청산 규모는 약 10억 달러(약 1조 원)에 달하면서 시장 전반에 하방 압력을 높였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미국 증시가 추가 하락할 경우, 비트코인도 최대 30% 가까이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리스크 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얼어붙은 가운데, 비트코인의 기술적 지지선이 무너지면 4만 달러(약 4,000만 원)선도 위협받을 수 있다는 평가다.
이번 가격 조정은 비단 비트코인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이더리움(ETH)을 비롯한 주요 알트코인들도 일제히 하락세를 나타냈으며, 이는 시장 전반의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준의 금리 완화에도 불구하고 매수세가 뒷받침되지 않는 점은 향후 수주간의 흐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코멘트: ‘금리 인하는 호재’라는 기존의 규칙이 이번에는 통하지 않았다. 거시경제가 여전히 불확실한 가운데, 투자자들은 비트코인과 같은 고위험 자산에 대한 노출을 재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리 인하가 오히려 경기 둔화의 신호로 읽히며, 향후 하락 리스크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