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이 기업회생을 추진 중인 홈플러스의 유일한 해법으로 인수합병(M&A)을 강조하며 정치권에 전폭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그는 M&A가 성사되지 않으면 회생은 불가능하다고 단언하며 “많이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이번 발언은 국회 정무위원회의 홈플러스 사태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자리에서 나왔다.
김 회장은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수년간 회생 방안 마련에 실패했으며, 현재는 새로운 주인을 찾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M&A 성사 여부에 모든 가능성을 걸었던 그간의 전략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김 회장은 최대 2,000억 원의 추가 자금을 투입하겠다고 했는데, 이는 법인 차원의 보수를 활용한 것으로 향후 인수자를 유인하기 위한 ‘동기부여 장치’로 해석해 달라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MBK 측은 홈플러스 M&A가 순탄치 않음을 인정했다. 김광일 MBK 부회장은 현재 인수 성공 가능성을 절반 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수 의사를 가진 기업들이 최종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태라며, 10월 말까지 인수의향서(LOI)를 확보한 뒤 법원에 인수 협상 기한 연장을 요청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들은 스토킹 호스 방식의 우선협상 대상 선정도 성과를 못 내고 결국 공개경쟁입찰로 전환한 상태다.
만약 이달 말까지 인수자를 찾지 못한다면, 홈플러스는 법원의 판단에 따라 청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홈플러스는 물론 MBK파트너스에도 심각한 타격이 될 수 있다.
이날 국감에서 김 회장이 국회에 공개적으로 '도와달라'고 요청한 발언은 여야 의원들의 강한 반발을 불렀다.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은 “이런 발언은 국회를 모독하는 것”이라며 M&A 실패에 대한 책임을 정부나 정치권으로 전가하려는 의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MBK와 홈플러스의 앞날은 10월 말까지 결정될 인수자 확보 여부에 달려 있다. 남은 시간이 많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의 신뢰를 회복하려면 보다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회생 전략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