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먹튀 논란'에 휘말린 MBK파트너스를 둘러싸고 공정거래위원장이 직접 강경 대응을 예고하고 나섰다.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은 14일 국정감사에서 “위법행위를 엄정히 제재하는 데 모든 역량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MBK가 한국 경제에서 창출한 막대한 수익에 상응하는 사회적 책임을 외면할 수 없다며 정부 차원의 강력한 대응 의지를 피력했다.
정치권과 재계 일각에선 MBK가 굵직한 국내 기업들을 차례로 인수한 뒤 단기간 내 매각하며 자금을 회수하는 단기 차익 실현 행태, 이른바 '먹튀' 전략을 지속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특히 홈플러스와 롯데카드 계열사 간의 부당 내부거래 의혹, 홈플러스 회생 절차에서 발생한 소비자 및 납품업체 피해 등 각종 논란이 한꺼번에 불거진 상황에서 MBK를 둘러싼 여론이 악화되고 있다.
이날 국감에서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은 MBK 회장 김병주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며 “미국 국적을 갖고 있는 만큼, 입국금지 조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표적인 사례로 입국이 금지된 미국 국적 가수 유승준을 거론하며, 공적 책임을 회피한 해외 국적 인사에 대한 사후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주 위원장은 “해당 사안은 법무부 소관”이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공정위 차원에서는 징벌적 제재를 포함해 MBK의 책임 회피 행태에 대한 제도적 대응 방법을 우선 살펴보겠다”고 답변했다. 그는 또 “기존 입법 및 제재 수준으로는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민간 투자회사의 구조적 문제를 해소하기 어렵다”며, 새로운 형태의 제재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논란은 단순히 특정 사모펀드의 경영 행태를 넘어, 외국계 자본의 투자 윤리와 국내 자산 활용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부재하다는 점에서 구조적인 문제로 비화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책임을 요구받는 시점에서 MBK 사례는 사모펀드 시장의 정보 비대칭성과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장을 다시금 조명하게 만들고 있다.
공정위의 조사 결과와 향후 법적 조치 여부에 따라 국내 사모펀드 업계 전반의 신뢰도와 투명성 확보 방안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