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인터뷰] “화이트페이퍼도, 로드맵도 없었다”… Notcoin, 기획 없는 성공의 시작

1
1

2024년, 단순한 ‘클릭 게임’이던 Notcoin이 세계적인 현상으로 떠올랐다. 최대 2.5조 원에 달하는 시가총액을 기록하며 단숨에 주목받은 이 프로젝트의 설계자는 무엇을 꿈꾸고 있었을까. TokenPost는 Notcoin 공동 창업자 Sergei를 만나,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커뮤니티 중심 전략, 향후 로드맵까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Notcoin 제공

2024년, 단순한 ‘클릭 게임’이던 Notcoin이 세계적인 현상으로 떠올랐다. 최대 2.5조 원에 달하는 시가총액을 기록하며 단숨에 주목받은 이 프로젝트의 설계자는 무엇을 꿈꾸고 있었을까. TokenPost는 Notcoin 공동 창업자 Sergei를 만나,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커뮤니티 중심 전략, 향후 로드맵까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클릭에서 시작된 실험, 기대 없이 시작해 모두가 놀랐다”

Notcoin은 처음부터 정통 블록체인 프로젝트들과는 궤를 달리했다. “우리는 백서도, 로드맵도 없었다”고 Sergei는 강조한다. 클릭 기반의 간단한 게임이었던 Notcoin은 텔레그램 미니앱으로 시작됐고, 2024년 초 정식 출시 이후 불과 몇 개월 만에 수천만 명의 사용자를 끌어들였다.

“복잡한 것을 피하고 싶었어요. 너무 많은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이 기대를 과도하게 조성하고, 실망을 안기곤 하잖아요. 우리는 ‘재미’를 최우선으로 두었고, 그게 많은 사람들에게 와닿았던 것 같아요.”

특히 주목할 점은, Notcoin의 온보딩 과정에서 별도의 지갑 설치나 KYC 없이 게임을 시작할 수 있었단 점이다. 대부분의 유저는 친구 초대 링크를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됐고, 플레이를 즐긴 후에야 토큰화 과정에 참여할지 여부를 선택했다.

“3,600만 명이 플레이했고, 그중 1,200만 명이 토큰을 실제로 전환했어요. 이는 ‘선 플레이, 후 온보딩’이라는 새로운 접근 방식의 성공을 보여줍니다.”

“토큰 배분 100% 커뮤니티 중심… 고래가 없다”

Notcoin의 토크노믹스는 그 자체로도 파격이었다. 사전 세일이나 초기 투자자 없이, 전체 유통량의 95%를 커뮤니티에 직접 배분했다. 소위 말하는 ‘고래’가 없는 구조였던 셈이다.

“우리는 사람들이 곧장 매도하지 않을 거라 믿었어요. 실제로 많은 핵심 유저들은 여전히 토큰을 보유하고 있죠. 초대 기반으로 참여한 인플루언서 몇몇을 제외하면, 누구도 큰 점유율을 갖지 않았습니다. 이는 시장 안정에도 도움이 되었어요.”

이와 함께, Sergei는 토큰을 단순한 보상 수단이 아닌 ‘참여의 증거’로 정의한다. 현재는 ‘NotGames’라는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게임에서 Notcoin이 쓰일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실질적인 유틸리티 생태계를 확장할 계획이다.

“우리는 플레이 투 언(play-to-earn) 모델이 아니라, ‘경쟁과 실력을 기반으로 한 보상 시스템’을 구축 중입니다. 예를 들어 토너먼트 우승자만 보상을 받는 구조죠. 올해 총 7개 타이틀을 출시할 예정이고, 이미 첫 번째 게임인 ‘Void’를 공개했습니다.”

“한국은 중요한 거점… 커뮤니티와 직접 만나고 싶었다”

Notcoin 팀은 최근 한국을 방문해 오프라인 커뮤니티 행사 및 파트너십을 진행했다. Sergei는 한국 시장에 대해 “문화적으로 깊이 있고, 커뮤니티의 참여도가 매우 높은 나라”라며 특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웹3에 대한 열정과 동시에 웹2에 대한 충성도도 강한 곳입니다. 그래서 한국에서의 활동은 우리가 얼마나 ‘사용자 중심’으로 접근할 수 있는지를 시험하는 기회이기도 해요. NFT 스티커, 아티스트 협업, 밸류 기반 게임 확장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한국 커뮤니티와 함께 이어가고 싶습니다.”

그는 또, “우리의 목표는 단지 또 다른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재미있게 즐기면서도 진짜 가치를 얻을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美 SEC 퍼스 위원 "NFT 로열티 기능, 증권 규제 대상 아냐"

[토큰포스트 인터뷰] “화이트페이퍼도, 로드맵도 없었다”… Notcoin, 기획 없는 성공의 시작

댓글

1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위당당

18:16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위당당

2025.05.21 18:16:0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