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팟캐스트 Ep.62] Trusta.AI, AI와 사람이 함께 만드는 새로운 디지털 신뢰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2

이번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에서는 7월 8일자 클라인랩스 리서치를 기반으로, Trusta.AI가 설계 중인 ‘AI 신뢰 인프라’를 집중 분석했습니다. SIGMA 모델을 통한 AI 신용평가, DID·TEE·온체인 리스크 모니터링을 결합한 체계적 시스템이 앞으로 인간과 AI가 공존하는 웹3에서 어떻게 신뢰 문제를 풀어갈지, 그리고 새로운 윤리·거버넌스 과제는 무엇일지 살펴봤습니다.

 [팟캐스트 Ep.62] Trusta.AI, AI와 사람이 함께 만드는 새로운 디지털 신뢰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 저희가 함께 살펴볼 내용은요, 토큰포스트 7월 8일자로 올라온 클라인랩스 리서치인데요. Trusta.AI인간과 AI가 공존하는 웹3 시대의 신뢰 인프라를 설계하다 라는 제목입니다.

진행자
네. 흥미로운 주제죠?

토큰포스트
그렇죠. 웹3 미래에는 어쩌면 인간 사용자보다 AI 에이전트가 더 중요해질 수 있다. 뭐 이런 예측이 있어요.

진행자
맞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럼 이 수많은 AI들을 우리가 어떻게 믿어야 할지 또 Trusta.AI는 이 문제를 어떻게 풀려고 하는지 한번 깊이 들어가 보겠습니다. 단순히 사람인가 이걸 넘어서 믿을 만한가 이걸 묻는 거죠. 자 그래서 핵심 질문부터 던져볼게요 웹3 사용자가 이제 10억 명이 아니라 어쩌면 10억 개의 AI 에이전트가 될 수도 있다.

진행자
네. 심지어 온체인 활동의 한 80% 그 정도를 AI가 대체할 거라는 예측까지 나오니까요?

토큰포스트
와 80%요 정말 큰데요. 그러면 당신은 이 수많은 AI 에이전트들하고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뭘 믿고 같이 일할 수 있을까요? 이게 참 궁금해지네요.

진행자
바로 그 지점 때문에 Trusta.AI 같은 프로젝트가 나오는 겁니다. 기존에 뭐 월드 코인 같은 경우는 이게 진짜 사람이냐 즉 인간 증명에 좀 더 집중했잖아요.

토큰포스트
네, 그렇죠. Proof of Personhood.

진행자
근데 Trusta.AI는 약간 달라요. AI 에이전트를 위한 통합적인 신뢰 인프라 이걸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사람이냐 AI냐 이걸 확인하는 걸 넘어서 이 AI 에이전트 믿을 수 있나 이 질문에 답하려는 거죠.

토큰포스트
아 신뢰 자체를 다루는 거군요.

진행자
네. 신원 확인은 기본이고 행동 패턴 분석 또 실시간으로 평판을 매기고 권한 제어까지 이걸 다 합쳐서 신뢰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거예요. 특히 이제 처음부터 인간하고 AI 둘 다 포함하는 통합 신원 체계를 생각하고 설계했다는 점 그리고 모듈식이라서 여기저기 다른 웹3 환경에도 좀 유연하게 붙일 수 있다는 게 좀 다른 점 같아요.

토큰포스트
신뢰라는 게 사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인데 이걸 측정한다니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하는 건가요? 좀 궁금한데요.

진행자
프로스타 AI는 그걸 위해서 SIGMA라는 자체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토큰포스트
SIGMA요?

진행자
네. SIGMA 이게 다섯 가지 기준의 약자인데요. Specification 그러니까 전문성, Influence (영향력), Engagement (참여도), Monetary (재무 건전성), 그리고 Adoption (채택도) 이 다섯 가지입니다.

토큰포스트
아 5가지 기준이군요. 예를 들어 재무 건전성은 어떻게 보나요?

진행자
예를 들면 그 AI 에이전트가 관리하는 자산 규모나 뭐 거래 패턴 같은 걸 분석하는 거죠. 그래서 갑자기 막 큰 돈을 옮긴다거나 하는 좀 이상한 신호 그런 잠재적 위험을 미리 잡아내는 데 중요해요. 이렇게 계산된 평판 점수는요 온체인 상에서 뭐 자산처럼 쓸 수도 있게 만들려고 하구요. 쉽게 말하면 AI를 위한 일종의 신용점수 시스템이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좀 편할 거예요.

토큰포스트
와 AI한테 신용 점수를 준다니 이거 진짜 흥미롭네요. 그러면 이 중요한 신뢰도 점수랑 AI 신호는 기술적으로 어떻게 안전하게 지키는 건가요? 해킹 위험도 있을 텐데요.

진행자
네 중요한 부분이죠. 핵심 기술은 크게 한 세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AI 에이전트마다 고유한 탈중앙화 신원 그러니까 DID를 부여하는 거구요.

토큰포스트
DID요?

진행자
네. 둘째는 이 DID 정보를 아주 안전한 곳에 보관해야 하잖아요. 그래서 실내 실행 환경 TEE라고 부르는 기술을 씁니다.

토큰포스트
TEE. 들어본 것 같기도 하구요.

진행자
네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이게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영역이라서 외부에서는 내부 연산을 들여다볼 수가 없어요. 거의 뭐 블랙박스 같은 거죠. 해킹이나 데이터 조작에서 AI 신원을 지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토큰포스트
아 안전장치군요.

진행자
그리고 셋째는 여기에다가 온체인 활동 데이터를 머신러닝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더했어요. 예를 들어서 어떤 AI 에이전트가 평소랑 다르게 갑자기 막 너무 많은 권한을 요구한다거나 아니면 새벽같이 이상한 시간에 대량 거래를 시도한다거나

토큰포스트
네네.

진행자
이런 비정상적인 패턴을 학습해서 실시간으로 딱 감지하고 위험을 관리하는 거죠. 뭐랄까 동적인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토큰포스트
와 되게 체계적이네요. 그럼 이게 그냥 이론적인 개념이 아니라 실제로 어디에 적용되고 있나요? 활발하게 쓰이고 있는지 궁금한데요.

진행자
그럼요 이미 솔라나, BNB 체인, 리네아 같은 주요 블록체인들에 적용이 됐고요. 계속 빠르게 확장하고 있어요. 그리고 AgentGo라고 해서 AI 에이전트를 검색하고 이렇게 찾아볼 수 있는 인덱싱 플랫폼도 직접 운영하고 있고요. 실제 사용 사례를 계속 만들고 있는 거죠.

토큰포스트
에이전트고요.

진행자
네. 그리고 원래 TrustGo라고 해서 인간 사용자들의 평판을 측정하던 시스템이 있었거든요. 이것도 이제 AI 중심으로 발전시키고 있어요.

토큰포스트
아 TrustGo 미디어 점수 기반 그거 말씀이시죠. 단순히 이 AI 진짜인가 확인하는 걸 넘어서 AI가 웹3의 핵심 플레이어가 될 미래를 딱 보고 그 행동을 기반으로 한 포괄적인 실내 인프라를 만들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겠네요.

진행자
네 정확합니다.

토큰포스트
이게 앞으로 당신이 웹3 환경에서 AI랑 어떻게 지내고 어떻게 상호작용할지 그 방식 자체를 바꿀 수도 있는 되게 중요한 움직임 같아요.

진행자
맞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걸음만 더 들어가 보면요 좀 생각해 볼 거리가 있어요.

토큰포스트
어떤걸까요?

진행자
Trusta.AI 같은 시스템으로 AI 에이전트의 신뢰성을 기술적으로는 검증한다고 쳐요 근데 앞으로 AI는 점점 더 자율성이 높아질 거잖아요. 예를 들어서 스스로 자산을 굴리거나 아니면 dao 투표권을 행사하는 그런 AI들

토큰포스트
네, 그렇죠. 점점 똑똑해지겠죠.

진행자
과연 이 AI들의 행동이 항상 우리 인간의 본래 의도나 아니면 사회적인 가치에 맞게끔 통제되거나 보장될 수 있을까요? 그렇죠. 인간이 아닌 존재에게 실질적인 권한이라는 자율성이 주어졌을 때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어떤 새로운 거버넌스 문제라든지 아니면 윤리적인 딜레마 같은 게 생길 수도 있다는 거죠. 이 부분은 앞으로 계속 고민해 봐야 할 숙제인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네. 정말 중요한 지적이십니다. AI와의 공존 신뢰를 넘어선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하겠네요. 오늘 분석은 여기까지입니다. 이상으로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CEX vs DEX, 알고리즘 경쟁 본격화…하이퍼리퀴드, 바이낸스 가격 알고리즘 개선

CEX vs DEX, 알고리즘 경쟁 본격화…하이퍼리퀴드, 바이낸스 가격 알고리즘 개선

댓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StarB

00:04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5.07.10 22:43:4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