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크립토 딜북] 7월 첫 주 9.4억 달러 유입...채굴 투자 '집중'

프로필
강이안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2

7월 첫 주 암호화폐 산업에 총 9억4397만 달러가 유입되며 투자 건수는 전주 대비 증가했으나, 규모는 46.9% 감소했다. 특히 Hut 8, BitMine 등 대형 채굴 인프라 기업에 4억7000만 달러 이상이 집중되며 인프라 재편 흐름이 두드러졌다.

 주간 암호화폐 벤처투자 그래프 / 크립토랭크

주간 암호화폐 벤처투자 그래프 / 크립토랭크

지난주 암호화폐 산업에 9억4397만 달러 상당의 벤처 투자금이 유입됐다.

크립토랭크에 따르면 지난주(6월 30일~7월 6일) 암호화폐 산업에 총 36건의 투자 라운드를 통해 9억4397만 달러(약 1조2780억원)의 벤처 자금이 유입됐다.

투자 건수는 전주(33건)보다 증가했으며, 투자 규모는 전주(17억8000만 달러) 대비 46.9% 감소하며 숨 고르기 흐름을 보였다.

채굴 인프라 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돋보였다. 캐나다 상장 채굴업체 '헛8 마이닝(Hut 8 Mining)’은 2억2000만 달러 규모의 Post-IPO 자금을 유치하며 시장 내 입지를 재확인했다. 비트마인(BitMine) 역시 2억5000만 달러를 조달하며 대형 채굴 인프라 투자 트렌드를 이어갔다. 앰버그룹은 자체 채굴 기반 확장을 위한 2550만 달러 규모의 Post-IPO 자금을 확보했으며 판테라 캐피털이 주요 투자자로 참여했다.

M&A 부문에서는 온도 파이낸스(Ondo Finance)가 오아시스 프로 마켓(Oasis Pro Markets)을 인수하며 RWA 분야 확장 전략을 본격화했고, 코인베이스 벤처스는 리퀴파이(LiquiFi)를 인수하며 온체인 토큰 지급 인프라 강화에 나섰다.

시리즈 라운드 중 가장 눈길을 끈 프로젝트는 디스팅크트 파서빌리티 스튜디오(Distinct Possibility Studio)다. 비트크래프트 벤처스(Bitkraft Ventures)가 참여한 비공개 라운드에서 3050만 달러를 조달했다. 더 오픈 플랫폼(TOP)은 리빗 캐피털(Ribbit Capital) 주도로 285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A를 마무리했다.

전략적 투자도 이어졌다. 코인베이스 벤처스는 AI·게임 유틸리티 서비스 ’리미틀리스(Limitless)’에 400만 달러를 투자하며 Web3 내 크리에이터 생태계 확장 의지를 드러냈다. 또한, 코인펀드는 크리스탈폴(Crystalfall)에 200만 달러를 Pre-Seed 형태로 투자하며, 초기 단계의 AI 기반 게이밍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외에도 앰버그룹은 암호화폐 지갑 프로젝트 'olaxbt'의 시드 라운드에 참여해 338만 달러를 지원했다. MOZAAYYX는 비트마인(BitMine)의 2억5000만 달러 투자 라운드에 참여했으며 판테라 캐피털(Pantera Capital)은 앰버그룹의 2550만 달러 규모 Post-IPO 라운드에 공동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한편, 콜로세움(Colosseum)은 한 주 동안만 10개 이상의 인큐베이션 라운드에 참여하며 초기 단계 Web3 스타트업에 대한 공격적인 포트폴리오 확대 전략을 이어갔다.

암호화폐 업계는 7월 들어 현재까지 총 44건의 투자 라운드를 통해 5억3168만 달러(약 7312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지난 월별 벤처 투자 규모를 보면 ▲3월 50억8000만 달러(141건) ▲4월 29억7000만 달러(94건) ▲5월 19억1000만 달러(117건) ▲6월 51억4000만 달러(119건)로 마감했다.

최근 30일 기준 투자 활동 지수는 최근 12개월 평균 대비 2% 높은 '정상(Normal)' 수준을 유지했다. 전주에는 평균 대비 2% 낮은 수준이었다.

30일 동안 집계된 투자 라운드는 총 139건으로, 전월 대비 5.30% 증가했다. 총 투자 유치 규모는 40억 달러로 전월 대비 6.07% 증가했으며 평균 라운드 규모는 약 300만~1000만 달러 수준을 유지했다. 가장 활발히 투자가 이뤄진 단계는 '시드(Seed)' 단계로 나타났다.

투자 집중 분야를 보면 인공지능(AI)이 전체의 29.83%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이어 결제(22.65%), 개발자 도구(19.89%), 탈중앙화 거래소(DEX, 14.64%), RWA(12.98%)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6개월간 가장 활발히 투자 활동을 펼친 주요 투자사는 ▲코인베이스 벤처스 38건 ▲애니모카브랜드 25건 ▲a16z CSX 22건 ▲앰버 그룹 21건 ▲셀리니 캐피털 20건 ▲MH 벤처스 19건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 18건 순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1:45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7.11 18:16:07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