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더리움(ETH), '수익 창출 기업 구조'로 기관 투자 급증 이끌었다

프로필
민태윤 기자
댓글 6
좋아요 비화설화 11

비트와이즈 CIO는 이더리움이 '수익창출 기업 구조'로 인식되면서 전통 투자자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장기 투자와 함께 레버리지 리스크도 경고했다.

 이더리움(ETH), '수익 창출 기업 구조'로 기관 투자 급증 이끌었다 / TokenPost.ai

이더리움(ETH), '수익 창출 기업 구조'로 기관 투자 급증 이끌었다 / TokenPost.ai

이더리움(ETH)의 가치 서사를 전통 투자자 시각으로 재포장한 것이 기관 자금 유입과 생태계 확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비트와이즈 자산운용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건(Matt Hougan)은 최근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이더리움이 주식 형태의 구조를 갖춘 후 투자자 이해도가 대폭 향상됐다"며 이같이 평가했다.

호건은 이더리움이 오랜 시간 '수익을 창출하는 자산인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설명을 내놓지 못했다는 점이 전통 금융권의 진입 장벽이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ETH 자체만 뒀을 땐, 이게 가치 저장수단인가, 소각 메커니즘 때문인가, 스테이킹 수익률 때문인가 등 누구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10억 달러(약 1조 3,900억 원)어치 ETH를 한 기업에 넣고 이를 스테이킹하면 결국 취득 수익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익숙한 '이익을 내는 기업' 구조와 닮게 된다"고 설명했다.

최근 들어 이더리움에 대한 기관 투자는 그 흐름이 한층 가속화되는 모양새다. 이는 2015년 메인넷 출시 후 10년간 이더리움이 단순 인터넷 문화 커뮤니티 소속 코인에서 벗어나 제도권이 주목하는 자산군으로 변모했음을 보여준다.

다만 거시적으로 볼 때 이러한 ETH 기반 기업의 확산은 리스크도 수반한다. 호건은 ETH를 기업채권 발행이나 주식 유상증자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매입하는 기업들이 부채 비율 관리와 이자 비용 조정을 철저히 하지 않으면 레버리지 과도와 순환 파산의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ETH를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일부 비중만 매입하는 기업에 대해서도 호건은 "시간이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단기 시장 변동성은 목표 기간이 짧은 투자전략을 충분히 파괴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ETH에 기반한 투자 접근은 장기적 관점을 견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6

추천

1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6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7.31 22:20:16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7.31 16:21:5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바다거북이

2025.07.31 14:14:47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5.07.31 10:36:5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달돌달돌

2025.07.31 10:21:1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7.31 08:27:40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