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인공지능, 원자력, 바이오 헬스 등 지역의 핵심 전략산업에 과학자 네트워크를 본격적으로 결합하기로 하면서, 전문가 중심의 과학기반 행정이 강화될 전망이다. 지역 발전의 키를 과학기술에서 찾겠다는 전략적 의도가 엿보인다.
경북도는 8일 경북연구원에서 ‘K-과학자센터’ 현판식을 열고, 과학 분야별 전문가 9명을 ‘K-과학자’로 위촉했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전문가에는 차인혁 광주과학기술원 특임교수(인공지능), 김무환 포항공대 특임교수(원자력), 남홍길 대구가톨릭대 역노화연구원장(바이오), 안교한 포항공대 명예교수, 고도원 아침편지문화재단 이사장 등이 포함됐다. 이들은 각자의 전문성과 경력을 바탕으로 도청 내 주요 사업에 자문을 하거나 직접 참여하게 된다.
‘K-과학자센터’는 이들 위촉 과학자들이 경북 지역을 방문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공유 사무 공간으로, 실질적인 협업의 거점 역할을 할 예정이다. 센터 개소와 함께 열린 ‘K-과학자 매칭 데이’에서는 도청 부서별 공무원들이 K-과학자들에게 주요 사업을 브리핑하고, 이어 질의응답과 사업 구상에 대한 토의가 진행됐다. 이는 단순한 위촉 행사에 그치지 않고 실제 사업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자리였다.
경북도는 이번 협업을 통해 행정과 과학기술을 실제로 연결하는 시범 사례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특히, 경북도가 중점적으로 육성하려는 분야인 인공지능, 원자력 응용 기술, 고령화 대응 의료기술 등에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가를 대응 분야별로 배치함으로써,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협업은 각 분야의 국내 최고 석학을 모셔 지역 사업에 참여시키는 첫 사례”라며, “단순 자문을 넘어서 과학 강연, 우수 인재 육성, 지역 기업의 연구개발(R&D)에도 긍정적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사업은 은퇴한 과학자들을 다시 현장으로 이끄는 제도적 실험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지역 공공정책에 전문성을 끌어들이는 새로운 모델로 평가된다. 앞으로 이 같은 과학자 중심 정책 협업 체계가 안착할 경우, 다른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충분히 열려 있다. 과학기반 발전 전략이 지역 균형발전의 해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