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이 외국인 과학기술 인재의 국내 정착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로 하면서, 우리나라 이공계 연구 생태계의 국제화 기반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8일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국내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이공계 연구자를 대상으로 ‘해외연구인력 전주기 정착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단기 체류가 아닌 장기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와 생활 전반에 걸친 맞춤형 지원을 포함한다. KIRD는 이번 사업이 외국인 연구자들을 단순 인력으로 보는 수준을 넘어, 경쟁력 있는 연구 생태계 구축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핵심 내용은 외국인 석·박사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생활하고, 연구 및 경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전방위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 이공계 대학원생의 약 10%는 외국인으로, 이들이 조기에 한국사회와 연구환경에 적응하고 향후 진로까지 연계되도록 지원해야 세계적 수준의 연구 인프라를 지속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올해는 과학기술 분야의 주요 교육기관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및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UST), 기초과학연구원(IBS)을 중심으로 사업을 시범 운영하며, 2026년부터는 전국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생활 정보를 담은 가이드북 제공, 지역사회 적응을 돕는 ‘현장 버디 프로그램’, 연구방향 설정을 지원할 전문가 컨설팅 등이 포함된다. 또한 석박사 과정 유학생에게는 국내 연구개발(R&D) 모의 기획, 현장 인턴십 기회 등을 제공하고, 박사후 연구원과 전임 교원에게는 R&D 시스템 교육, 리더십 강좌와 연구 네트워킹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나아가 외국인 연구자들의 실태조사 및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중장기 정책 기반 마련에도 착수한다.
배태민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원장은 “우수한 외국인 연구자의 정착은 단순히 개인의 경력관리를 넘어, 우리 과학기술 인재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좌우하는 전략적 요소”라며, “향후 한국이 연구역량을 확장할 기회의 나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 지원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흐름은 과학기술 분야의 인재 확보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시대 흐름에 따라, 한국이 전 세계 과학기술 인재의 허브로 성장할 기반을 넓히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또한 외국인 연구자들이 단순히 국내 체류자에 그치지 않고 주요 연구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 마련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