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롯데카드에서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고에 대해 국회가 직접 현장 조사에 나서면서, 정보보안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번 해킹 사건은 국민 개인정보 유출 피해가 현실화됐다는 점에서 사회적 파장이 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소속 의원들은 9월 19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KT 연구개발본부와 종로구 롯데카드 본사를 차례로 방문해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의원들은 각 회사의 해킹 대응 태세, 소비자 보호 조치, 통신·결제망 보안상 미비점 등을 집중 점검하며 책임 소재를 따졌다.
KT의 경우, 내부 서버가 외부 해킹 공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특히 원격상담에 쓰이던 폐기된 서버와 무선 장비 관리 체계에 허점이 존재했던 정황이 드러났다. 의원들은 KT 측이 피해 확산을 알리는 데 늑장 대응했다는 의혹도 제기하며 강하게 질타했다. 이에 대해 KT 측은 무선 장비 관리 체계에 문제가 있었으며, 관리 시스템 개선이 시급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조사단은 롯데카드 본사를 방문해,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 사고에 따른 후속 대응을 점검했다. 특히 피해 고객 28명의 개인정보뿐 아니라 결제에 핵심적인 CVC(카드인증값) 비밀번호 일부까지 유출된 정황이 드러나면서 금융 사기 및 부정사용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의원들은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한 조치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국회는 이번 현장 조사에 이어 오는 9월 24일 해킹 사고와 관련된 청문회를 열 계획이다. 증인으로는 김영섭 KT 대표와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롯데카드의 최대 주주인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 등이 채택됐다. 청문회는 기업의 정보보안 시스템 현황과 피해 보상 계획, 해킹 경로 및 사전 차단 가능성 등을 집중적으로 확인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이번 해킹 사태는 국민 일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정보보안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환기시켰다. 정무적 책임 추궁을 넘어 제도적 보완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향후에도 이와 유사한 사건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정부와 관련 기관, 민간기업 모두의 근본적 대응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