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쿠팡이 올해 국정감사에서 총 5개 상임위원회의 도마에 오르며 기업 운영 전반에 걸친 다양한 문제로 집중 질타를 받았다. 유독 많은 상임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지적을 받은 것은 물론, 수사 외압 의혹이라는 민감한 이슈까지 불거지면서 기업 책임경영에 대한 근본적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에 따르면 2025년 국정감사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정무위원회 등 총 5개 위원회에서 쿠팡을 상대로 여러 의혹과 운영상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 중 입점 업체에 대한 수수료 체계, 광고 윤리, 노동 조건, 공정 거래 등 각기 다른 분야의 문제가 제기된 점은 쿠팡이 산업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방증으로도 해석된다.
이번 국감에서 가장 큰 파장을 일으킨 사안은 퇴직금 미지급 사건과 연관된 수사 외압 논란이다.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이 쿠팡 물류 자회사를 검찰에 기소 의견으로 송치했으나, 이후 검찰이 무혐의 처분을 내린 과정에서 외부 압력이 있었는지를 두고 논란이 일었다. 특히 이에 대한 내부 검사가 국감장에서 눈물어린 증언을 하며 논란은 특검 수사로 확대됐다. 쿠팡이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는 사안인 만큼, 향후 수사 방향에 따라 기업의 향방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쿠팡이 이처럼 국감에서 반복적으로 지적받는 것은 단지 개별 사건 때문만은 아니다. 업계에서는 쿠팡이 급격한 외형 성장에도 불구하고 내부 통제 시스템이나 위기 대응 능력은 이에 비해 지나치게 미성숙하다고 평가한다. 실제로 쿠팡은 창사 15년만에 연 매출 32조 원, 월간 이용자 수 3,400만 명을 넘어서며 유통 공룡으로 성장했지만, 기업 거버넌스나 노동 관리 측면에서는 대기업 수준에 못 미친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더불어 한국에서 사업을 영위하면서도 본사가 미국에 있는 이중 구조는 여러 제도적 충돌을 야기하는 배경이 됐다. 한국 내 노사 관계나 위기 대응 방식에 있어 미국식 운영 방식이 도입되면서, 지역 정서와 괴리된 결정이 종종 갈등을 확산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특히 노동 현장이나 공정 거래 질서에서 문제가 반복되는 상황은 기업 윤리에 대한 내부 개선이 시급하다는 반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쿠팡은 그동안 물류 인프라와 파트너 생태계를 확장하며 고용 창출과 소비자 편의를 강조해왔지만, 이번 국감을 통해 드러난 모습은 빠른 외형 성장의 그늘이라 할 수 있다. 문제 제기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매년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제는 지속가능한 기업 운영을 위한 구조적 개편과 조직 내 자정 능력 강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국회 차원의 제도 개선 논의와 함께, 쿠팡 자체의 경영 전략 방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