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엔비디아(NVDA), 시총 4조 달러 돌파… 인공지능 시대의 '경제 제국' 되다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엔비디아가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하며 AI 산업 중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는 일본과 인도 GDP에 맞먹는 규모로,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엔비디아(NVDA), 시총 4조 달러 돌파… 인공지능 시대의 '경제 제국' 되다 / TokenPost Ai

엔비디아(NVDA), 시총 4조 달러 돌파… 인공지능 시대의 '경제 제국' 되다 / TokenPost Ai

엔비디아(NVDA)가 시가총액 4조 달러(약 5,760조 원)를 돌파하면서 기술 산업 역사에 또 하나의 이정표를 세웠다. 현지시간 9일 오전 장중 잠시 동안 이 기록을 달성한 엔비디아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기업 중 하나로서 인공지능(AI) 시대의 중심에 서 있는 자신감을 시장에 과시했다.

이 같은 시가총액은 글로벌 경제에서도 손꼽히는 거대 수치다. 세계은행 집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일본과 인도의 국내총생산(GDP)이 각각 약 4조 달러 규모이며, 이는 미국·중국·독일에 이어 세계 4~5위권이다. 기업 하나의 시장가치가 이들 국가 전체 경제규모와 맞먹는다는 점은 기술 기업의 경제적 영향력이 얼마나 커졌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구체적으로 풀어보면, 엔비디아의 현재 시총은 테슬라(TSLA)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Elon Musk)의 자산 약 10배에 달한다. 머스크는 다양한 혁신 기업을 이끌며 세계 최고 부자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포브스 자료에 따르면 그의 순자산은 약 4,000억 달러로 엔비디아 전체 가치의 10% 수준에 불과하다.

또한 엔비디아의 시총 4조 달러는 S&P500 지수의 절반 가까운 가치를 담고 있다. 약 500개 종목으로 구성된 이 지수를 기준으로 할 때, 엔비디아는 하위 216개 기업의 합계 시가총액과 맞먹는다. 여기에는 제너럴 밀스(GIS), 베스트 바이(BBY), 도미노피자(DPZ) 같은 미국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대기업들도 포함된다.

스포츠 산업 전체와의 비교도 흥미롭다. 포브스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50개 스포츠 구단의 가치는 총 2,890억 달러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엔비디아가 뉴욕 양키스, 댈러스 카우보이즈, 레알 마드리드 등 세계 최고의 구단을 13번 이상 사고도 일부 자금이 남는다는 뜻이다. 심지어 F1 전체 10개 팀의 가치를 고려하면, 이 경기 시리즈를 200회 이상 통째로 살 수도 있다.

자사 제품 기준으로도 이 수치는 압도적이다. CEO 젠슨 황(Jensen Huang)은 자사의 고성능 AI 반도체인 블랙웰 칩의 가격을 개당 3만~4만 달러라고 밝힌 바 있다. 단순 계산해도 엔비디아는 자신들의 최첨단 칩 1억 개 이상을 구매할 수 있는 자금을 현 시점에서 시장의 신뢰로부터 확보한 셈이다.

AI 트렌드의 핵심으로 우뚝 선 엔비디아는 기술력과 시장 주도의 양축을 기반으로 명실상부한 글로벌 최강자를 넘어, 이제는 세계 경제와 산업 전반에 구조적 영향을 미치는 존재가 되고 있다. 4조 달러라는 기록은 단순한 숫자 그 이상으로, 미래 산업의 방향성과 자본 흐름의 중심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