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자국 반도체 기업의 중국 내 매출에 대해 15%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엔비디아가 이 조치가 기업에 법적 위험과 경쟁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분기 보고서에서 정부가 매출 일부를 수수료로 요구할 경우 자사가 소송에 휘말릴 수 있으며, 전반적인 비용 부담이 늘고 경쟁사 대비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수출 규제가 특정 기업에만 집중적으로 적용될 경우 시장 경쟁의 형평성을 해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엔비디아의 최고재무책임자 콜레크 크레스도 이날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미국 정부의 수익 공유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으며, 논의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해당 수수료 부과 방안이 아직 정책 결정 초기 단계에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 4월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인 H20의 중국 수출을 중단시킨 바 있다. 그러나 최근 다시 입장을 바꿔 일부 제한적인 조건 하에 수출 허가를 내주기로 하면서, 동시에 중국 매출의 15%를 수수료로 회수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미국 내 기술 유출 방지와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한 조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실질적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크레스 CFO는 미국 수출 허가가 신속히 이뤄질 경우 2025년 3분기 동안 최대 50억 달러(약 6조7천억 원)의 추가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지정학적 긴장과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 탓에 중국에서 발생할 매출을 분기 실적 전망치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반도체 산업이 정치적 변수에 크게 영향을 받는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러한 정부 규제 논의는 향후 AI 반도체 시장의 교역 구조와 기술 공급망 재편에 중요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규제가 더욱 강화될 경우, 장기적으로 미국 반도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접근성이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반면 이를 통해 중국 시장에 대한 기술 종속도를 낮추고 미국 내 첨단 산업 주도권을 유지하겠다는 전략도 병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