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기술보증기금, AI로 개인정보 보안 강화…전자문서·고지서 전면 자동화 추진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기술보증기금이 AI 기반 개인정보 자동 마스킹과 AI-OCR 기술을 도입하며 보안 수준 제고에 나섰다. 연내 모바일 전자고지 시스템까지 구축해 디지털 보안혁신을 본격화한다.

 기술보증기금, AI로 개인정보 보안 강화…전자문서·고지서 전면 자동화 추진 / 연합뉴스

기술보증기금, AI로 개인정보 보안 강화…전자문서·고지서 전면 자동화 추진 / 연합뉴스

기술보증기금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높이기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전자문서 처리 과정에서의 보안 취약성을 줄이기 위해 AI 기술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디지털 업무환경에서도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이다.

기술보증기금은 9월 17일, 내부 문서 내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비식별화(개인정보를 식별할 수 없도록 처리하는 방안)하는 ‘AI 기반 개인정보 자동 마스킹 시범사업’을 이미 이달 초부터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 시범사업은 문서 내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 민감 정보가 포함돼 있는지를 AI가 스스로 판단하고, 이를 자동 처리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해당 기술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경우 업무 효율성과 함께 보안 수준도 동시에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올해 안으로는 고객이 제출한 전자서류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AI 기반의 광학문자인식 기술(AI-OCR)로 자동 식별해 비식별 처리하는 시스템도 도입할 예정이다. 광학문자인식 기술은 종이서류나 PDF 등 이미지 형태의 문서에서 문자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인데, 여기에 AI를 접목함으로써 정확도와 처리 속도를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기보는 이 시스템을 ‘전자서고 고도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기보는 오프라인 방식으로 송부되는 고지서의 분실이나 배송 오류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줄이기 위해, 모바일 전자고지 시스템도 연내 구축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단순한 시스템 개선을 넘어서, 고객 서비스 접근성 향상과 데이터 보안 양측을 아우르려 한다는 설명이다.

김종호 기술보증기금 이사장은 이번 시스템 도입에 대해 “보안체계를 강화함으로써 국민 신뢰를 높이고, 디지털 전환에 걸맞은 업무 혁신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추진하는 'AI 정부' 실현을 뒷받침하는 기술적 기반 역할을 기보가 자임하겠다는 입장도 내놓았다.

이번 기술보증기금의 조치는 자금 보증과 같은 핵심 공공서비스가 디지털 환경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흐름 속에서,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기준도 이에 맞춰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앞으로 이러한 보안 기반 기술이 다른 공공기관·금융기관에도 확산될 경우, 국내 전체 개인정보 보호 수준이 한층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