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웨이모, 샌프란시스코 공항서 로보택시 시험 운행... 자율주행 본격 상업화 신호탄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웨이모가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로보택시 시험 운행 허가를 획득하며 공항 기반 자율주행 상업화에 성큼 다가섰다. 테슬라와 죽스 등 경쟁사도 잇따라 시장 진입 중이다.

 웨이모, 샌프란시스코 공항서 로보택시 시험 운행... 자율주행 본격 상업화 신호탄 / 연합뉴스

웨이모, 샌프란시스코 공항서 로보택시 시험 운행... 자율주행 본격 상업화 신호탄 / 연합뉴스

구글의 자율주행차 자회사인 웨이모(Waymo)가 미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로보택시 시험 운행을 허가받으면서, 공항 기반 상업 운행의 공식 진입을 앞두고 있다. 이는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의 또 다른 진전으로 평가된다.

웨이모는 9월 16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규제 당국으로부터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자율주행 로보택시의 시험 운행을 시작할 수 있는 허가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미 웨이모는 샌프란시스코 시내 및 인근 지역에서 일부 유료 서비스를 지속해왔지만, 공항 구역은 그동안 규제와 보안 문제로 인해 운행이 제한되어 왔다.

이번 허가는 공항 당국과의 협력 아래 이뤄졌으며, 초기 단계에서는 웨이모 직원들을 대상으로 시범 운행이 진행된다. 시험 운행에는 상황에 따라 차량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안전 요원이 동승해 운행 안정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는 완전 자율주행 서비스 전환을 위한 준비 절차로 풀이된다.

웨이모는 이미 2022년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 스카이하버 국제공항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시험 서비스를 운영한 경험이 있다. 이어 이달 초에는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국제공항에서도 시험 운행 허가를 획득하며, 주요 공항 중심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현재 웨이모의 로보택시는 피닉스,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 일부, 로스앤젤레스, 오스틴, 애틀랜타 등 미국 전역의 핵심 도시에서 운행 중이다.

자율주행차 시장에서는 웨이모 외에도 다양한 경쟁자들이 속속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지난 6월부터 오스틴에서 안전 요원이 동승한 자체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험하면서 샌프란시스코 공항들과도 허가 협의를 진행 중이다. 아마존이 인수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죽스(Zoox) 역시 지난 9월 10일부터 라스베이거스에서 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료 시승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 진입을 노리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자율주행 기술이 단순한 기술 실험에서 벗어나 실제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는 현상을 보여준다. 특히 공항과 같은 복잡한 환경에서의 운행이 현실화되면, 향후 대중교통 보완 수단으로서 자율주행 차량의 활용 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