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중국산 AI 챗봇, 자율 트레이딩 대회서 챗GPT 제치고 1·2위 석권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중국산 AI 챗봇 QWEN3 MAX와 DeepSeek이 자율 암호화폐 트레이딩 대회에서 챗GPT 등 글로벌 AI를 제치고 1, 2위를 차지했다. 특히 QWEN3는 유일하게 수익을 기록하며 성능을 입증했다.

 중국산 AI 챗봇, 자율 트레이딩 대회서 챗GPT 제치고 1·2위 석권 / TokenPost.ai

중국산 AI 챗봇, 자율 트레이딩 대회서 챗GPT 제치고 1·2위 석권 / TokenPost.ai

중국산 인공지능(AI) 챗봇들이 최근 치러진 자율 암호화폐 트레이딩 대회에서 오픈AI의 챗GPT 등 글로벌 유력 모델들을 뛰어넘는 성과를 내며 주목받고 있다.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지난 화요일 종료된 이 대회에서 중국 챗봇 QWEN3 MAX와 DeepSeek이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두 모델 모두 비교적 저렴하게 제작된 ‘예산형 AI’로, 고가의 유명 AI 모델들을 제치고 선전했다는 점에서 이목이 집중된다.

특히 QWEN3는 대회 참가 모델 가운데 유일하게 수익을 기록한 챗봇이었다. 대회 기간 동안 총 751달러(약 75만 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7.5%의 수익률을 달성했다. 반면 나머지 모든 챗봇들은 손실을 냈다.

이번 대회는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됐으며, 참가 AI 챗봇들은 전적으로 자율적인 판단에 따라 암호화폐 매매를 수행했다. 실시간 데이터 해석, 포지션 설정, 리스크 관리까지 모두 알고리즘에 기반해 결정된 것이 특징이다.

챗GPT처럼 고비용 프리미엄 AI 모델들이 수익을 내지 못한 반면, QWEN3 같은 경량 AI가 시장을 이긴 결과는 AI 트레이딩의 효율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모델이 항상 더 나은 성과를 내는 것은 아니라는 해석이다.

이번 결과는 AI가 점차 암호화폐 시장의 실질 트레이딩 수단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AI 기반 트레이딩 알고리즘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FTX, 중국·러시아 등 49개국 채권자 배상 제한 계획 철회…지급 보류 일단 중단

FTX, 중국·러시아 등 49개국 채권자 배상 제한 계획 철회…지급 보류 일단 중단

XRP 콘텐츠 또 제재…16만 유튜버 채널, 유튜브 ‘7일 정지’ 후 복구

XRP 콘텐츠 또 제재…16만 유튜버 채널, 유튜브 ‘7일 정지’ 후 복구

리플, 팔리세이드 인수…기관 대상 커스터디 사업에 5조원 투자

리플, 팔리세이드 인수…기관 대상 커스터디 사업에 5조원 투자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가즈아리가또

01:11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