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과 경찰청이 원자력시설을 겨냥한 불법 드론의 침입 상황을 가정한 기술 시연회를 열면서, 첨단 보안 대응 체계 구축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는 갈수록 지능화되는 드론 위협에 대응해 국가 핵심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한 선제 조치다.
9월 18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원자력시설에 불법 드론이 침투했을 때를 가정한 대응 시나리오가 실제처럼 진행됐다. 이번 시연은 ‘불법드론 지능형 대응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탐지부터 무력화, 실시간 증거 확보(라이브 포렌식)와 사후 분석까지 전 과정을 종합적으로 선보인 첫 사례다.
해당 사업은 2021년부터 우주항공청과 경찰청,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공동으로 추진해온 장기 연구 프로젝트다. 드론이 소형화되고 비행제어 기술이 정교해짐에 따라 범죄 목적으로 이용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어, 이에 대응이 가능한 원스톱 방어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시작됐다. 탐지 센서, 전파 차단 장비, 정밀 분석 시스템 등을 통합한 것이 핵심이다.
이번 시연을 통해 관계 기관은 실제 원자력시설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점검하고 기술적 보완점을 도출하게 된다. 특히 '라이브 포렌식'은 드론의 침입 시도와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 분석해 증거로 보존하는 기술로, 향후 범죄 수사에 중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후 포렌식' 기술까지 더해지면, 사건 발생 뒤에도 침투 목적과 배후를 밝혀내기 쉬워진다.
다음 달 말에는 양양공항에서 두 번째 시연이 예정돼 있다. 공항 역시 항공기 운항과 직결되는 국가중요시설인 만큼, 이번에는 공항 특성에 맞춘 드론 대응 능력을 시험하게 된다. 연구를 주관하는 원자력연구원은 두 차례 시연 결과를 토대로 최종 개발 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번 대응체계 구축이 실제 보안 위협 상황에서도 얼마나 효과를 발휘할지는 좀 더 장기적인 검증이 필요하지만, 관련 기술이 완성되면 원자력시설, 공항, 군사기지 등 국가 전략 시설의 보호 수준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드론 보안 기술 분야에서 한국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