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가상화폐 손실 만회하라며 투자자 유인... 경찰, 수십억대 코인 사기 수사 外

프로필
최희우 기자
댓글 19
좋아요 비화설화 0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가상화폐 손실 만회하라며 투자자 유인... 경찰, 수십억대 코인 사기 수사 外

[가상화폐 손실 만회하라며 투자자 유인... 경찰, 수십억대 코인 사기 수사]

가상화폐 투자로 피해를 본 사람에게 “‘비상장 가상화폐’에 투자하면 큰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접근해 수십억원의 돈을 가로채고 잠적한 일당에 대한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31일 영등포경찰서는 “관련 고소건을 접수했고, 수사에 착수했다”며 “자세한 내용은 수사 중인 사안이라 밝힐 수 없다”고 했다. 현재까지 고소에 참여한 피해자들은 약 40명이며, 피해 금액은 밝혀진 것만 20여억원에 달한다. 피해자 측 법률대리인 포유법률사무소 측은 “코인을 지급 받은 지갑(암호화폐를 보관할 수 있는 계정)의 갯수로 추정해봤을 때 피해자는 수백명, 피해 금액은 100억원대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일당은 자사 비상장 가상화폐인 ‘이페이코인’을 프라이빗세일(특정 집단이나 인물을 대상으로 사전판매를 하는 것) 방식으로 매수하면 상장 후 큰 수익을 낼 수 있어 피해를 복구할 수 있다고 투자자들을 유혹했다. 투자를 권유하는 과정에서 바이낸스나 후오비 등 해외 주요 거래소와 업비트, 빗썸 등 국내 대형 거래소에 상장이 확정됐다고도 했다.

[두들스 창업자 "기존 두들스 NFT 보유자, 두들스2 베타 패스 취득 가능"]

유명 NFT 시리즈 두들스(Doodles) 창업자 에반 키스트(Evan Keast)가 최근 두들스 공식 디스코드 커뮤니티에서 "기존 두들스 NFT(OG Doodle) 보유자는 두들스2 웨어러블 파츠와 베타 패스를 취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이날 그는 "두들스가 이더리움(ETH)을 버렸다는 일부 인플루언서의 발언은 사실이 아니다. 기존 두들스 보유자들은 플로우(FLOW)를 시작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생태계에 액세스할 수 있다. 두들스2 외에도 우리는 올해 3개 정도의 다른 제품을 만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두들스는 오늘 공식 트위터를 통해 "두들스와 두플리케이터(Dooplicator) 보유자는 해당 NFT를 도킹해 두들스2 웨어러블 파츠와 베타 패스를 얻을 수 있다. 두플리케이터만 있고 두들스 NFT가 없는 사람들도 두플리케이터 마켓플레이스에서 다른 사람의 두들스를 빌려 두들스2 파츠와 베타 패스 취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앞서 두들스는 후속 시리즈인 두들스2를 이달 말 출시하며 플로우(FLOW)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발행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日 거래소 비트뱅크, OAS 일본 최초 상장]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뱅크(bitbank)가 공식 채널을 통해 31일부터 일본 게임 특화 블록체인 프로젝트 오아시스(OAS)의 OAS 토큰을 일본 최초로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OAS 토큰은 오아시스 블록체인에서 기축 통화로 사용되며 생태계 내 결제수단, 스마트컨트랙트 실행 수수료 지불, 스테이킹 등이 활용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OAS는 현재 8.12% 오른 0.0681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홍콩, 2분기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승인 가능"]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소속 ETF 애널리스트 레베카 신(Rebecca Sin)이 "홍콩 규제당국이 이르면 2분기에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를 승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레베카는 "중국 내륙 투자자의 일부 홍콩 ETF 투자를 허용하는 제한적인 프로그램이 언젠가 암호화폐 ETF 투자 허용으로 확대될 수 있다. 이는 장기적인 잠재력으로 볼 수 있으며, 홍콩 소재 ETF 운용 자산이 올연말 500억 달러를 넘어설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삼성자산운용은 홍콩 증시에 비트코인 선물 기반 ETF를 출시하며 '규제 여건 허락 시 비트코인 현물 기반 ETF 출시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퓨저니스트 "RPC 재개 및 보상 메커니즘 업데이트"]

퓨저니스트(Fusionist)가 트위터를 통해 "메인넷 론칭 직후 예상치 못한 트래픽 급증에 따른 업그레이드 및 개선 작업을 위해 RPC(원격절차호출)를 일시 종료해야 했다. 업그레이드 완료 후 RCP를 재개하고 보상 메커니즘을 업데이트했다. 또한 봇의 ACE(메인넷 코인) 획득을 막기 위해 검증 메커니즘 등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퓨저니스트는 자체 메인넷 인듀어런스(Endurance)를 론칭했다.

[웨이브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N, 인덱스 토큰 전환 라이트페이퍼 공개]

웨이브(WAVES)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뉴트리노 프로토콜(구 USDN)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다중 담보 스테이블코인 USDN을 웨이브 생태계 토큰 담보 기반 인덱스 토큰 XTN으로 전환하는 내용을 골자로한 라이트페이퍼를 공개했다. 뉴트리노 측은 해당 라이트페이퍼를 통해 "XTN 토큰의 가치는 달러화에 연동(페깅)되지 않으며, 준비금의 달러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웨이브 측은 USDN 디페깅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USDN을 생태계 인덱스 토큰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사샤 이바노프 웨이브 CEO는 "스테이블코인으로서 USDN은 실패했지만, 생태계 인덱스 상품으로는 적합하다. USDN의 스테이블코인 기능을 단계적으로 없애는 동시에 새로운 토큰으로 부활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리본파이낸스 "프릭션 사용자, 마이그레이션 시 SOL 에어드랍 제공"]

이더리움 기반 구조화 상품 프로토콜 리본파이낸스(RBN)가 트위터를 통해 "솔라나 디파이 프로젝트 프릭션(Friktion) 사용자들이 2월 17일 20시(한국시간)까지 리본파이낸스로 마이그레이션할 경우 지난해 SOL 볼트에서 얻은 수수료 전액(550 SOL)을 이들에게 에어드랍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프릭션은 비용이 수익을 초과,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해 플랫폼을 폐쇄한다고 밝힌 바 있다.

[분석 "점프트레이딩, LDO 바이낸스 이체 후 LDO 가격 하락 발생"]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이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마켓 메이커 점프트레이딩이 4일 전 LDO를 바이낸스로 이체한 후 LDO 가격이 최대 10% 하락했다. 14시간 전 점프트레이딩은 또다시 LDO를 바이낸스로 이체했고 그후 LDO는 5%까지 하락했다. 현재 점프트레이딩은 여전히 392만 LDO(약 820만달러)를 보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오픈씨, 웹사이트에 게임 섹션 추가]

오픈씨가 공식 웹사이트에 게임 섹션을 추가하고 NFT 카테고리를 재배치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용자는 이더리움 기반 NFT 전략 게임 메트로버스(Metroverse) 등 유명 게임들의 NFT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스타크넷 기반 거래소 ZKX, 3월 14일 테스트넷 출시]

zk 롤업 기반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스타크넷(STRK) 기반 파생상품 거래소 ZKX가 3월 14일 테스트넷에 출시 될 예정이라고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스마트 컨트랙트역시 오픈소스로 제공된다. ZKX측은 커뮤니티 인센티브 프로그램 시즌 2의 일환으로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4조 스캠 원코인 창업자, 영국 부동산 거래 기록서 5년만에 등장]

약 40억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스캠 프로젝트 '원코인' 창업자 루아 이그나토바(Ruja Ignatova)의 이름이 5년만에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번달 영국 정부 기관에 제출된 런던 소재 부동산 거래 기록에서 루아 이그나토바의 이름이 발견됐다. 해당 부동산은 '애벗 하우스 펜트하우스'(Abbots House Penthouse Limited)가 소유한 런던 근교 켄싱턴에 위치한 펜트하우스로, 루아 이그나토바는 소유사의 오너로 이름을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그나토바는 불가리아에서 2017년 그리스 아테네로 출국하는 항공편에 탑승한 뒤 잠적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뉴욕 포스트는 "이그나토바는 지난해부터 영국에서 시행된 해외 기업 관련 규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오너로 이름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그가 해당 부동산 거래와 연관됐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진단했다. 한편, 미국 FBI는 이그나토바 수배에 약 10만 달러의 현상금을 건 것으로 알려졌다.

[트론 아카데미, 프린스턴 대학교 블록체인 연구조직 공식 후원]

트론(TRX) 산하 암호화폐 교육 기관 트론 아카데미가 프린스턴 대학교의 학생 주도 블록체인 연구조직 '프린스턴 블록체인 클럽' 공식 후원사로 선정됐다. 캠퍼스 내 웹3 네이티브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이와 관련 트론 아카데미는 "최근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개최한 워크샵 등 대학 캠퍼스에서의 입지를 확보하기 위해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P2E, 게임산업법에 위배"…법원, 재차 게임위 손들었다]

P2E(Play to Earn·플레이로 돈 벌기) 게임이 게임산업법에 배치된다는 입장을 법원이 다시한번 확인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8부는 31일 게임사 나트리스가 게임물관리위원회를 상대로 낸 등급분류 거부 처분 취소 청구 소송을 기각했다. 지난 13일 법원이 P2E게임 개발사 스카이피플의 청구를 기각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날 법원은 "해당 게임의 '무돌토큰'이 게임산업법에서 금지하고 있는 경품제공 행위에 해당한다고 본다"라며 "피고 측의 등급분류 처분은 적법하다"라고 판결요지를 밝혔다. 앞서 나트리스는 2021년 11월 P2E 모델을 적용한 '무한돌파 삼국지 리버스'를 개발했다. 게임위는 출시 다음달인 2021년 12월 10일 등급분류결정 취소를 통보했다. 나트리스 측은 P2E 요소를 뺀 버전으로 게임을 재출시했고, 게임위의 처분에 대한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어셈블 프로토콜, 2~3분기 ASM 토큰 리브랜딩 예정]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포인트 통합 플랫폼 어셈블 프로토콜(ASM)이 31일 발표한 2023년 로드맵을 통해 오는 2~3분기 ASM 토큰 리브랜딩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로드맵에 따르면, 어셈블 측은 오는 1분기 중 어셈블 2.0 버전의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고, 2~3분기 2.0 버전 모바일 버전 출시와 함께 백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또 4분기에는 어셈블 2.0 데스크탑 버전 출시, ASM 토큰 신규 이코노미를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ASM은 현재 2.12% 내린 0.0134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 커뮤니티, 비트코인 기반 NFT 프로토콜 '오디널스' 놓고 갑론을박]

비트코인 커뮤니티에서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반 NFT 프로토콜 '오디널스'(Ordinals)를 놓고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초기 비트코인 이념을 저해한다고 주장하는 일부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쓰임새는 금융 거래로 제한돼야 한다.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NFT 데이터를 저장하는 오디널스 프로토콜은 비트코인 본연의 임무에 대한 공격"이라고 지적했으며, 일각에서는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충분히 성장했고 활용 사례를 늘려갈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오디널스는 2017년 비트코인 세그윗, 2021년 탭루트 업그레이드를 기반으로 구상된 NFT 프로젝트다. 사실 익명의 비트코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는 2010년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비금융적 활용에 대한 논쟁에서 '안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당시 비트코인에 도메인 주소를 도입하는 것을 취지로 출범한 프로젝트 비트코인 도메인 네임 서비스 BitDNS도 사토시의 반대에 부딪혀 개발이 중단됐다. 이에 비트코인 NFT 반대파들은 "해당 프로토콜은 비트코인 블록 내 트랜잭션 혼잡을 야기할 수 있고, 거래 수수료 인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전통 결제 수단과의 경쟁에서 비트코인이 불리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강조했지만, 오디널스를 최초로 제안한 비트코인 개발자 케이시 로더머(Casey Rodarmor)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수수료 메커니즘은 트랜잭션의 가치에 따라 수수료가 책정된다. 그것은 금융 비금융을 떠나 트랜잭션이면 동일하게 적용되는 규칙"이라고 반박했다.

[데이터 "BTC 선물 시장가 매도 주문 급증...시장가 매수 주문 물량 추월"]

크립토퀀트 기고자 겸 비트코인 온체인 애널리스트 크립토온체인(cryptoonchain)이 "글로벌 비트코인 선물 시장에서 시장가(Taker) 매도 주문 물량이 급증, 매수 주문 물량을 추월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그는 "선물 시장의 데이터를 보면 트레이더들의 투심을 가늠할 수 있다. 미결제 약정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숏 포지션의 증가는 약세를 전망하는 매도세가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FTX 변호인 "FTX 채권자, 제네시스에 25억 달러 청구 소송 가능"]

FTX 챕터11 파산 재판에서 FTX 측 법률 대리를 맡고 있는 미국 로펌 설리반앤크롬웰(Sullivan & Cromwell)이 다른 FTX의 채권자들도 제네시스에 25억 달러를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고 암시했다. 앞서 FTX의 관계사인 알라메다측이 보이저 디지털(VGX)로부터 4억 4580만 달러 상당의 기상환 대출금을 회수하기 위한 소송을 제기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설리반앤크롬웰은 "보이저디지털에 제기한 대출금 상환을 위한 회피조치(Clawback)가 다른 대출기관에도 적용될 수 있다"며, "이러한 대출기관을 피더 펀드라고 한다. 제네시스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25억 달러의 상환 소송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dYdX 지난해 활성 거래자 3만 3900명, 누적 거래량 $4600억]

지난해 dYdX 프로토콜 활성 사용자는 3만 3900명으로, 누적 거래량과 수수료 수익은 각각 4663억 달러, 1억 3780만 달러다. 또 지난해 유통된 토큰 공급량은 전체 공급량의 19.4% 상당인 1억 9445만 개로 나타났다.

[무비블록, 2월 내 수탁 업체에 MBL 토큰 이관 완료]

무비블록이 2월 내 보유 중인 MBL 토큰 전체에 대한 전문업체 수탁(Custody)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무비블록은 "계획대로 수탁을 진행하려던 시점에 우리가 계약한 수탁업체의 대주주 회사와 관련된 의혹이 보도돼 거래소와 긴밀히 협의했다"며 "지금까지 해당 의혹에 대해 모니터링을 진행한 결과, 해당 의혹이 수탁업체의 신용 및 영업행위에 미칠 영향은 매우 적다고 판단하여 예정대로 2023년 2월 내 수탁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0월 무비블록은 해킹 등 자산 탈취에 대비하고, 더욱 투명한 자산 관리를 위해 보유한 MBL 토큰 전체를 전문 업체에 수탁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지한 바 있다.

[美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SEC, 토큰 자체는 증권 비해당 인정"]

리플(XRP) 지지자로 유명한 미국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제레미 호건(Jeremy Hogan)이 오늘 오전 트위터를 통해 "1월 30일 LBRY v. SEC(미 증권거래위원회) 소송 최종 심리에서 SEC가 토큰 자체는 증권이 아니라는 기록을 인정했다"고 전했다. LBRY는 블록체인 기반 파일 공유 및 결제 네트워크로, 작년 11월 미국 뉴햄프셔 지방법원은 LBRY가 미등록 증권이라고 판결한 바 있다. 앞서 미국 변호사 존 디튼(John E Deaton)은 이날 심리에 참석해 LBRY의 토큰 LBC가 증권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해줄 것을 판사에 요청할 계획이며, LBRY 소송에서 SEC가 승소할 경우 모든 코인, 토큰의 2차시장(유통시장) 거래가 미국에서 불법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힌 바 있다.

[분석 "이번달 암호화폐 기업 14곳에서 2900명 해고"]

2023년 1월 최소 2900명의 직원이 14개 암호화페 기업에서 해고됐다. 비트코인이 한달 동안 강세를 보였음에도 불구, 다수 기업은 재정 긴축에 나서고 있다는 진단이다. 가장 최근 정리해고를 단행한 회사는 프라임 트러스트(Prime Trust), 매트릭스포트(Matrixport), 제미니(Gemini) 등이다. 가장 큰 규모는 약 950명을 정리해고한 코인베이스로 나타났으며, 크립토닷컴, 디지털커런시그룹(DCG) 산하 루노, 후오비 등 거래소도 각각 500명, 330명, 320명의 직원을 해고했다. 루노의 정리 해고는 DCG 계열사 중 최대 규모로, DCG 자체는 66명을 해고, 다른 자회사 제네시스와 HQ 디지털은 각각 63명, 26명을 해고했다.

[디파이 활용, 코드부터 이해해야]

지난 크립토 붐을 이끌었던 키워드 중 디파이는 가장 먼저 주목 받은 섹터다. 디파이는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많은 양의 자금과 사용자를 블록체인 상에 유입시켰다. 디파이는 스마트 컨트랙트의 개념과 함께 탄생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상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 코드로, 짜여진 코드에 따라 자금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일종의 계약서다. 다만 탈중앙화 오픈소스를 핵심 가치로 두는 디파이의 경우 전통 금융과 달리 잘못된 계약이나 약관을 바로 잡아줄 규제나 감독 시스템이 부재하다. 따라서 공개된 소스 코드가 디파이 신뢰의 근간이 된다. 즉 디파이 프로토콜의 코드를 이해하면 할 수 있는 일들이 늘어난다. 특히 스캠을 식별하고 투자를 결정하는 데 디파이 스마트 컨트랙트의 코드를 이해하는 것은 유용한 능력이며, 디파이의 투명성이란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코드에 대한 이해가 반 필수적이다.

[리서치 "BTC, 2021년 10월 이후 가장 큰 폭 월간 상승...FTX 여파 진정"]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글래스노드가 주간 보고서를 통해 "1월 비트코인 시장은 현물 수요와 선물 숏 스퀴즈 등의 영향으로 2021년 10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월간 상승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보고서는 "이번 랠리로 시장 내 상당량의 미실현 손해는 수익으로 전환됐고, 선물 시장은 건강한 콘탱고(contango,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높은 상태)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FTX 여파로 인한 거래소 자금 유출은 중립 상태로 진정됐으며, 새로운 동기부여로 인한 자금 유입·유출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3.74% 내린 22,820.6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퓨저니스트 알파 프레스티지 NFT 바닥가 6.05 ETH...7일간 166%↑]

퓨저니스트(Fusionist)의 알파 프레스티지 NFT 컬렉션 바닥가가 지난 7일간 166% 오른 6.05 ETH를 나타내고 있다. 퓨저니스트는 전날 메인넷 인듀어런스(Endurance)를 론칭한 바 있다.

[미 재무장관 "인플레 냉각에도 침체 가능…연준 금리 인상 계속"]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인플레이션이 냉각되더라도 경기 침체의 위험이 테이블을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옐런 장관은 주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계속되는 금리 인상을 감안할 때 경기 침체 위험은 지속될 것"이라며 이같이 내다봤다. 옐런 장관은 지난 몇 달간의 경제 지표로 올해 경기 침체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며 인플레 억제를 위해 연준의 긴축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지금까지의 경제 지표에 상당히 만족하지만 경기 침체 위험을 최소화하고 싶지 않다"며 "인플레이션을 낮추면서 강력한 노동시장을 유지하는 길은 성장 둔화를 수반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19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9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der4827

2023.02.03 08:14:1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olkae

2023.02.01 15:57:14

ㅊㅊ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우스코인

2023.02.01 10:23:31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3.02.01 09:37:20

새로운 소식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3.02.01 07:16:11

ㄱ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3.02.01 06:07:34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늘봄

2023.02.01 00:56:2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구리구리

2023.02.01 00:53:5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imhappy

2023.02.01 00:37:5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bm장미

2023.02.01 00:28:13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