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SEC "권도형, 1만 비트코인 빼돌려...스위스서 현금화"]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가 10,000 BTC를 빼돌렸으며, 지난해 5월부터 주기적으로 스위스 은행을 통해 일부를 현금화했다고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밝혔다. 지난해 6월 이후 스위스 은행에서 1억 달러 이상이 인출됐다는 설명이다. 앞서 권도형과 테라폼랩스를 기소한 SEC는 해당 사건으로 최소 400억 달러(52조원)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리플, NFT 크리에이터 펀드 합류 제작자 세번째 명단 발표]
리플(XRP)이 NFT 크리에이터 펀드에 합류에 선정된 세번째 제작자 명단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NFT 기반 티켓 판매 프로젝트인 핫 임포트 나이츠(Hot Import Nights), 디지털 캔버스 아티스트인 아드리안 발라스테기(Adrian Balastegui), NFT 활용 음반사 엠포지오 레코드(Emporio Records) 등이 포함됐다. 리플은 2021년 XRP 원장 기반 NFT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2.5억 달러 규모 크리에이터 펀드를 조성한 바 있다.
[바이낸스, TRX 컨트랙트 스왑 지원...2/27 입출금 일시 중단]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BNB 스마트체인 내 트론(TRX) 컨트랙트 스왑을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 13시(한국시간) TRX 입출금이 일시 중단된다.
[해시키 그룹, 블록체인 보안 업체 '써틱'과 파트너십]
아시아 디지털자산 관련 투자사 해시키(HashKey) 그룹의 일본 도쿄 지사인 해시키 DX가 일본 내 웹3 보안 솔루션 제공을 위해 블록체인 보안 감사 전문 업체 써틱(CertiK)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해시키 DX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써틱의 보안 서비스 제품을 일본 내 공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머니 주소, 바이낸스 상장 공지 전 GNS 매수]
특정 스마트머니 주소가 바이낸스 상장 공지에 앞서 GNS(Gains Network) 토큰을 매수했다. 20만 달러 상당의 26,881개를 매수했으며, 31만 5000 달러에 매도하면서 약 11만 달러의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이란, 국제 결제 위한 디지털 통화 구축 논의 시작]
발레리 가르툭(Valery Gartuk) 러시아 국가두마(연방의회 하원) 경쟁보호위원장이 이란과 국제 결제를 위한 디지털 통화 구축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미디어는 "지난 1월 이란을 방문했을 당시 양측 모두 이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으나,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수준이다. 앞서 주러 이란 대사관은 러시아와 이란이 수·출입 대금 등에서 활용하기 디지털 통화 사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다.
[OKX 창업자 "작년부터 홍콩에 암호화폐 라이선스 신청"]
쉬밍싱 암호화폐 거래소 OKX 창업자가 트위터에서 홍콩이 오는 6월부터 암호화폐 거래를 전면 허용할 것이란 뉴스를 공유하며 "OKX는 지난 2022년부터 홍콩에 암호화폐 라이선스를 신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OKB는 현재 2.17% 오른 49.4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IMF 임원 "전세계가 포괄적 암호화폐 규제 위해 노력"]
IMF 통화 자본시장 국장 토바이어스 아드리안(Tobias Adrian)이 "전통적인 은행 규제 접근 방식과 익명화 된 암호화폐 세계 사이에 근본적인 충돌이 발생한다. 암호화폐에 대한 기존 조치 중 일부는 비효율적이었다"면서 "금융안정위원회(FSB)가 이끄는 전세계 규제 당국이 암호화폐에 포괄적이고 일관적인 규제를 하기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암호화폐 부문은 건전성이나 투자자 보호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고객 자산이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에 대한 확신이 없다"고 덧붙였다.
[블록파이 "SBF 소유 '로빈후드 주식' 보호 기각해달라" 법원 요청]
지난해 11월 챕터11 파산 보호를 신청한 암호화폐 대출업체 블록파이(BlockFi)가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 측의 로빈후드 주식 보호 신청을 기각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했다. 앞서 SBF 소유 기업 '이머전트 피델리티 테크놀러지'(Emergent Fidelity Technologies)는 법원에 자사가 보유한 4.5억 달러 상당의 로빈후드 주식을 채권자들이 처분하지 못하도록 조치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한 바 있다. 블록파이는 "이머전트는 미국에 직원도, 매출도, 비즈니스도 없다. 이 회사의 유일한 자산은 로빈후드의 주식 뿐이다. 따라서 미국 파산법상 이는 보호 대상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외신 "FTX, 파산 4개월 전 아프리카서 대학생 이용해 모객 행위"]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파산 신청 4개월 전 아프리카 내 대학생들을 이용해 모객 행위를 벌이고 그 대가로 금전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는 "FTX는 목표치를 채운 학생들에게는 커미션을 줬고, 아프리카 학생들에게 FTX를 이용해 암호화폐를 거래하면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있다고 홍보했다. 이는 과대 광고에 해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美 암호화폐 업체 4분기 로비 비용 700만 달러]
미국 암호화폐 업체들의 지난해 4분기 로비 비용이 700만 달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740만 달러, 3분기 720만 달러 보다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사상 최고치에 가까운 수준이다.
[번스타인 "BUSD 외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규제 영향 없을듯"]
월가 투자은행 번스타인이 리서치 보고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당국의 규제는 BUSD로 국한되며, USDC 등은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현재 서클은 USDC와 관련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어떠한 웰스노티스(Wells Notice)도 전달받지 않았다. 아울러 미국의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는 반면 홍콩은 규제 완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규제가 완화될 때까지 아시아가 암호화폐 시장을 주도해도 별로 놀랍지 않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전날 암호화폐 옵션 거래량 30억 달러, 올해 최고 기록"]
2월 16일 옵션 거래량이 올해 최고치인 30억 달러를 넘어서며 최근 암호화폐 옵션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다고 우블록체인이 보도했다. 한편, 같은날 무기한 계약 거래량은 1440억 달러에 달했다.
[셀시우스, 계열사 간 거래 내역 7000건 누락...9억 달러 규모]
파산한 암호화폐 대출업체 셀시우스(CEL)가 계열사 간 자금 이체 내역 7,000건이 누락됐으며 이를 복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법원에 보고했다. 앞서 법원은 셀시우스에 계열사 간 거래 내역을 모두 제출하라고 명령한 바 있다. 누락된 거래 내역은 약 3개월치로, 9억 달러 규모다. 셀시우스는 법원 제출 문서에서 "해당 내역을 복구하려고 시도했으나 별다른 기록물이 없어 복구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결론냈다"고 설명했다.
[비트마이닝, 작년 4분기 매출 6100만 달러...전년比 $4.3억↓]
비트마이닝(BIT Mining)이 2022년 4분기 미감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매출은 61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억3680만 달러, 같은해 3분기보다는 3600만 달러 감소했다. 손실은 1억 2170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억 460만 달러 늘었다. BTC 채굴량은 65 BTC로 집계됐다
[1인치 네트워크, 폴리곤 기반 메타버스 프로젝트 블록토피아와 파트너십]
탈중앙화 거래소(DEX) 애그리게이터 플랫폼 1인치(1INCH) 네트워크가 트위터를 통해 폴리곤(MATIC) 기반 탈중앙화 메타버스 프로젝트 블록토피아(Bloktopia)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1INCH는 현재 1.09% 내린 0.560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후오비 '상장 투표' 3기 프로젝트 TOMI 선정]
후오비가 거래소 상장 토큰을 결정하기 위한 투표인 '프라임 보트' 3기에 참여한 150개 프로젝트 중 25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커뮤니티 투표를 진행한 결과 2199만 HT 중 1796만 HT를 득표한 TOMO가 1위를 기록해 상장 프로젝트로 선정됐다.
[앵커, zk싱크 RPC 커넥션 출시...이더리움 확장 위한 엔드게임 구축 지원]
웹3 인프라 제공 업체 앵커(ANKR)가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zk싱크(zkSync)와 함께 zk싱크 RPC(원격절차호출) 커넥션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웹3 개발자가 보다 쉽게 이더리움 확장을 위한 엔드게임을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 앵커의 설명이다. 또 개발자는 이를 활용해 zk싱크 테스트넷, 메인넷에 접근할 수 있다.
[블룸버그 "채찍 휘두르는 SEC 탓에 미국 '암호화폐 리더' 위상 흔들"]
블룸버그 통신이 미국 규제 당국이 암호화폐 기업을 대상으로 강도 높은 조사를 이어가면서 암호화폐 리더로서의 미국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암호화폐 기업의 전현직 임원들은 현재 미국보다 홍콩, 싱가포르, 유럽, 두바이가 규제, 세금, 정부의 기조 등 다양한 측면에서 더 매력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특히 이들은 미국이 새로운 법률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위법 활동을 단속하는 것에마나 열을 올리는 것에 적잖은 불만을 표했다. 특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채찍을 휘두르면서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출렁이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 4/1 소비자 대상 CBDC 파일럿 프로그램 진행]
러시아 중앙은행이 오는 4월 1일 실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 파일럿 프로그램을 출시할 예정이다. 올가 스코로보가토바(Olga Skorobogatova) 러시아 중앙은행 부총재는 "조만간 러시아 내 13개 지역은행과 여러 업체들이 참여하는 실제 디지털 루블 거래를 선보일 것이다. 이 파일럿 프로그램은 실제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지만, 참여 업체의 수에는 제한을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에크 전략 고문 "美 암호화폐 규제, 혼란스럽고 신뢰하기 어려워"]
반에크 전략 어드바이저 가버 거백스가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에 대한 미국의 규제 환경은 현재 매우 혼란스럽고 신뢰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암호화폐 소비자와 기업, 거래소가 미국에서 멀어지는 것은 별로 놀라운 일이 아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미국 기업을 사용하는 것은 자랑이었지만, 더는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테더(USDT)는 옛 미국의 영광을 상기시킨다. 장기적으로 집중하고 신뢰할 수 있다. 특히 모든 사용자와 파트너를 위한 가치 창출에 전념한다. 실제로 바이낸스 인터내셔널에서 가장 유동적인 페어는 대부분 USDT로 거래된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는 이처럼 똑똑한 방법으로 USDT를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ZK 하드웨어 스타트업 싸이식, $600만 시드 라운드 투자 유치]
ZK(영지식) 하드웨어 스타트업 싸이식(Cysic)이 600만 달러 규모의 시드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폴리체인 캐피탈이 주도했으며 해시키 및 ABCDE, 웹3닷컴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조직 확대, 하드웨어 솔루션 개발 작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수이 재단, 비트고와 파트너십]
대규모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IT 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지난해 9월 코웬앤컴퍼니(Cowen and Company)와 최대 5억 달러 규모의 보통주 매각 계약을 체결한 뒤 현재까지 4,660만 달러 상당의 주식을 매각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해당 자금을 실버게이트로부터 받은 대출금 상환에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실버게이트로부터 BTC를 담보로 약 2억 500만 달러를 대출받았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식 매각으로 $4,660만 조달...대출금 상환 예정]
대규모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IT 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지난해 9월 코웬앤컴퍼니(Cowen and Company)와 최대 5억 달러 규모의 보통주 매각 계약을 체결한 뒤 현재까지 4,660만 달러 상당의 주식을 매각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해당 자금을 실버게이트로부터 받은 대출금 상환에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실버게이트로부터 BTC를 담보로 약 2억 500만 달러를 대출받았다.
[보우만 연준 이사 "더 많은 진전 있을때까지 금리 더 올려야"]
미셸 보우만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가 "일관성 없는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나타나고 있다. 낮은 실업률은 좋은 소식이다"라면서 "인플레이션을 원하는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갈 길이 멀다. 더 많은 진전이 있을때까지 금리를 더 인상해야한다"고 말했다.
[美 비트코인 ATM 업체, 공과금 납부 서비스 출시]
미국 비트코인 ATM 운영 업체 비트코인오브아메리카(Bitcoin of America)가 비트코인 ATM을 통해 공과금을 납부할 수 있는 빌페이(BillPay)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또 빌페이를 통해 암호화폐를 손쉽게 현금화하고 이를 다시 공과금으로 지불할 수 있다는 것이 비트코인오브아메리카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