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이지 리서치] AI는 어떻게 DeFi를 점령할까?

코인이지(CoinEasy)

2025.07.22 17:59:06

AI는 어떻게 DeFi를 점령할까?

자동 리밸런싱부터 리스크 관리, 포트폴리오 설계까지.
이제 DeFi는 더 이상 ‘사람이 조작하는 금융’이 아니다.

기존의 DeFi는 왜 어렵게 느껴졌을까?

DeFi(탈중앙화 금융)는 탈중앙, 투명성, 무허가성을 무기로 전통 금융을 대체해왔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DeFi를 사용하는 것은 여전히 복잡하고, 수많은 판단을 요구합니다.

  • 어떤 풀에 예치해야 할까?
  • 담보 비율이 위험한가?
  • 리밸런싱은 언제 하지?
  • 유동성은 충분할까?
  • 청산은 어떻게 막지?

이 모든 과정은 ‘똑똑한 사용자’에게만 유리한 게임이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이 역할을 AI가 대신하기 시작했습니다.

 

AI는 DeFi에서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

1. 자산 배분과 리밸런싱

AI는 사용자의 포트폴리오와 시장 상황을 실시간 분석해
가장 효율적인 자산 배분 비율을 계산합니다.

✅ 예시: ETH 비중이 과도하게 늘어나면 일부를 USDC로 자동 교체 → 수익 실현 + 리스크 감소

 

2. 청산 리스크 감지

레버리지를 활용할 경우 청산은 가장 큰 리스크입니다.
AI는 담보 비율, 가격 변동성, 유동성 부족 등을 사전에 감지해
자동으로 포지션을 줄이거나 자산을 추가합니다.

✅ Aave나 Compound에서 청산 위험 발생 시 자동 대응 → 손실 최소화

 

3. 리스크 스코어링과 위험 회피

스마트컨트랙트 해킹, 오라클 오류, 유동성 고갈 등
DeFi에는 다양한 위험이 존재합니다.
AI는 온체인 데이터를 분석해 위험도를 수치화하고
유저에게 회피 전략을 제안합니다.

✅ 예시: TVL이 급감 중인 풀은 자동 회피 설정

 

4. 맞춤형 포트폴리오 설계

최근 나오는 AI들은 사용자의 투자 성향, 과거 행동, 시장 상황을 종합해
그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전략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 공격적인 유저에게는 파생상품 기반 전략을,
보수적인 유저에게는 스테이블 기반 수익 농사 전략을 설계


실제로 존재하는 AI+DeFi 프로젝트

  • Gauntlet: Aave, dYdX 등에서 리스크 기반 파라미터 최적화
  • Chaos Labs: 체인 시뮬레이션 및 청산 시나리오 분석
  • Theoriq AI: 프롬프트 기반 전략 실행과 자동화 운영

이들은 단순 자동화가 아니라,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에이전트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DeFi는 AI를 만나 어떻게 바뀌는가?

항목 기존 사용자 AI 기반 운영 리밸런싱 수동, 직접 조작 실시간 자동 실행 청산 감지 뒤늦게 반응 사전 예측 & 대응 전략 설계 수많은 툴 필요 맞춤형 자동 추천 리스크 회피 경험에 의존 데이터 기반 판단

 

중요한 건 ‘수익률’이 아니라 ‘운영 방식’

앞으로의 DeFi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이자가 몇 %냐?”가 아닙니다.

  • 얼마나 스마트하게 관리되느냐”,
  • “내 전략을 얼마나 잘 기억하고 실행하느냐”,
  • “청산을 얼마나 미리 막아주느냐”

가 핵심이 됩니다.

AI는 DeFi를 누구나 접근 가능한 서비스로 만들고 있습니다.
고급 유저만이 누리던 전략이, 이제 누구에게나 열리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 DeFi는 사람이 직접 조작하던 ‘하드 모드’ 금융이었습니다.
  • 이제 AI가 전략을 짜고, 감지하고, 실행하고, 반복합니다.
  • DeFi는 ‘기술자들의 도구’에서 ‘AI가 대행하는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DeFi를 쓰는 이유는 단순히 더 높은 이자 때문이 아니라, 인간보다 지능이 뛰어난 AI가 대신 관리해주기 때문이 될지도 모릅니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61,815,026 (+2.12%)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5,048,581 (-0.52%)
XRP 로고 XRP (XRP)
4,772 (-0.42%)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351 (+0.01%)
BNB 로고 BNB (BNB)
1,068,598 (+3.25%)
Solana 로고 Solana (SOL)
276,422 (+3.76%)
USDC 로고 USDC (USDC)
1,350 (0.00%)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363.0 (-1.00%)
Cardano 로고 Cardano (ADA)
1,213 (+1.11%)
TRON 로고 TRON (TRX)
426.6 (+0.57%)
왼쪽
2025 7월  23(수)
오른쪽
진행기간 2025.07.22 (화) ~ 2025.07.23 (수)

46명 참여

정답 83%

오답 17%

진행기간 2025.07.21 (월) ~ 2025.07.22 (화)

41명 참여

정답 54%

오답 46%

진행기간 2025.07.18 (금) ~ 2025.07.19 (토)

32명 참여

정답 75%

오답 25%

진행기간 2025.07.17 (목) ~ 2025.07.18 (금)

44명 참여

정답 41%

오답 59%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