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AM WEEKLY REPORT 25년 11월 3주차

AM WEEKLY REPORT 요약 (2025년 11월 17일 기준)

 

1. 주간 시장 개요

43일간 이어진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마침내 종료되었다. 이번 해제는 단순한 행정 정상화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시장은 이를 “정책 정상화의 재시작”으로 평가하며 불확실성 완화에 대한 기대를 회복하고 있다.

셧다운으로 인해 연준(Fed)은 고용·물가 등 실물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한 채 회의를 준비해야 했으나, 이번 해제를 통해 12월 FOMC에서 실물 지표를 기반으로 한 판단이 가능해졌다. 다만 즉각적인 위험자산 랠리로 이어지지는 않았고, 시장은 아직 방향성 탐색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번 사태는 2018~2019년 트럼프 행정부 1기 셧다운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당시에도 셧다운 종료 직후 정책 기조가 완화로 전환되며 위험자산이 강세를 보였다. 현재 역시 관세 완화와 정책 복귀 기대가 맞물리며 리스크 프리미엄이 일부 축소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원 통과 직후 일부 소비재 품목 관세를 동결하고, 미·중 협력 재개 의사를 밝혀 제조업 둔화를 완화하는 긍정적 신호를 보냈다. 그러나 실물 수요 둔화와 긴축적 금융여건이 여전히 남아 있어 단순한 관세 완화만으로 시장의 추세를 바꾸기에는 역부족이다.


2. 금주 주요 일정

이번 주는 셧다운 해제 이후 첫 번째 데이터 점검 구간이다. 시장은 통계 복구와 지표 발표 재개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다만 행정 복구가 아직 완전히 마무리되지 않아, 10월 CPI·PPI·고용보고서 등 일부 지표는 “발표 불가 또는 일정 재조정” 상태에 놓여 있다. 일부 기관은 10월 지표 중 일부가 영구적으로 누락될 가능성까지 언급하고 있다.

정책 판단이 지연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지표 자체보다 “데이터 정상화 시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이번 주에는 엔비디아(NVIDIA)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며, 이는 AI 투자 사이클의 지속성을 가늠할 핵심 이벤트로 꼽힌다. AI 인프라 투자가 실제 수익과 현금흐름 기반의 구조적 성장인지 여부가 확인되는 시점으로, 실적 결과에 따라 시장 방향성이 단기적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3. 거시경제 및 금리 전망

10월 FOMC 이후 현재 기준금리는 4.00%이며, 12월 FOMC에서 350~375bp 인하 가능성이 45.8%, 동결 가능성은 54.2%로 집계되었다. 시장은 사실상 금리 인하 기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셧다운으로 인해 일부 데이터가 누락된 점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연준은 이번 회의에서 ‘인하 시점’보다는 ‘인하 지속성’에 초점을 맞출 가능성이 높으며, 정책 전환보다는 중립적 기조를 유지할 전망이다. 물가 둔화 신호가 확인될 경우 완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지만, 소비 둔화가 심화될 경우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4. 암호화폐 시장 흐름

비트코인은 주간 기준 약 -10.56% 하락하며 $95,156로 마감했다.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18조 달러(-9.65%)로 감소했다. 셧다운 해제 후 단기 반등을 시도했으나, 12월 금리 인하 불확실성 확대로 다시 하락세로 전환되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59.53%(-0.7%), 이더리움 도미넌스는 11.85%(-4.58%)로 모두 하락세를 보였으며, 알트코인 중심의 약세장이 이어지고 있다.
시장 유동성은 위험자산에서 스테이블코인으로 이동하며 보수적 흐름이 강화되었다. 단기적으로는 기술적 반등 가능성이 남아 있으나,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는 한 강한 추세 전환은 제한적이다.


5. ETF 수급 동향

11월 10~14일 기준, 비트코인 ETF는 주간 전체 약 11억 달러 순유출 우위로 마감했다. 11일 하루 동안 약 5억 2천만 달러 유입이 포착되었으나, 이후 12~14일 연속 순유출이 발생하면서 차익 실현 흐름이 나타났다.

이더리움 ETF 역시 같은 기간 4거래일 연속 순유출을 기록했다. 반면, 솔라나 ETF는 약 680만 달러 순유입으로 차별적인 강세를 보였다. 시장 내 자금 흐름은 비트코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알트코인 ETF는 변동성 확대 속에서도 일정 부분 유입세를 유지하고 있다.


6. 애널리스트 시황

비트코인은 셧다운 기간 내내 약세 흐름을 이어가며 트럼프 행정부 1기(2018~2019년) 당시와 유사한 조정 패턴을 보였다.
이번에도 셧다운 종료 직후 약 -8%의 추가 하락이 발생했으나, 12월 금리 인하 기대와 유동성 공급(QE) 논의가 맞물리며 점진적인 회복 기반이 형성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93,400~$91,600 구간에서 지지를 확인하며 반등 시도를 이어가고 있으며, RSI 강세 다이버전스가 유지되는 만큼 해당 구간 방어 여부가 단기 추세 전환의 핵심이다.


7. 종합 결론

셧다운 종료로 정치적 불확실성의 정점은 통과했으나, 시장은 여전히 데이터 공백 속에서 방향성을 탐색 중이다. 이번 해제가 정책 환경 정상화의 출발점이라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10월 지표 공백이 연준의 판단을 제약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엔비디아 실적과 데이터 복구 일정이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며, 중기적으로는 연준의 12월 스탠스에 따라 시장 방향이 확정될 전망이다. 비트코인은 과거 사례처럼 정책 완화와 불확실성 해소가 겹치는 구간에서 중기 강세 사이클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35,665,088 (+2.37%)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4,451,122 (+1.30%)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65 (-0.02%)
XRP 로고 XRP (XRP)
3,136 (+0.32%)
BNB 로고 BNB (BNB)
1,332,013 (-0.70%)
Solana 로고 Solana (SOL)
210,699 (+4.59%)
USDC 로고 USDC (USDC)
1,466 (-0.01%)
TRON 로고 TRON (TRX)
421.6 (+0.55%)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231.2 (+1.04%)
Cardano 로고 Cardano (ADA)
683.5 (+1.86%)
왼쪽
2025 11월  20(목)
오른쪽
진행기간 2025.11.20 (목) ~ 2025.11.21 (금)

26명 참여

정답 62%

오답 38%

진행기간 2025.11.19 (수) ~ 2025.11.20 (목)

38명 참여

정답 87%

오답 13%

진행기간 2025.11.18 (화) ~ 2025.11.19 (수)

41명 참여

정답 56%

오답 44%

진행기간 2025.11.17 (월) ~ 2025.11.18 (화)

48명 참여

정답 69%

오답 31%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