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SAS, AI 의사결정 혁신 선언…MS·인텔과 ‘차세대 아키텍처’ 구축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0

SAS가 MS·인텔과 손잡고 에이전틱 AI와 양자컴퓨팅 기반의 차세대 AI 아키텍처를 공개하고, 의사결정 인텔리전스를 중심으로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SAS, AI 의사결정 혁신 선언…MS·인텔과 ‘차세대 아키텍처’ 구축 / TokenPost Ai

AI 기술의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SAS는 ‘의사결정 인텔리전스’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시장에서 차별화된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개최된 ‘SAS 이노베이트 2025’에서는 SAS의 미래 비전이 구체적으로 제시됐고, 이를 통해 양자 인공지능, 에이전틱 AI, 전략적 파트너십이 이끄는 차세대 AI 아키텍처가 초점을 받았다.

행사에서 SAS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텔과의 협업을 통해 양자 컴퓨팅과 하이브리드 AI 모델을 선보였다. 이 모델은 연산 속도와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인텔과는 최적화된 지능(Intelligence Optimization) 구현을 위한 칩 레벨 협업을 진행 중이며, SAS 연구개발팀의 수요에 맞춰 맞춤형 하드웨어를 공급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의사결정 인텔리전스의 핵심은 단순한 AI 모델 개발을 넘어, 이를 실제 업무 의사결정에 투입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데 있다. SAS의 선임 부사장 제러드 피터슨은 이러한 목표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의 데이터 플랫폼인 패브릭(Fabric)과 자사의 ‘Viya’를 통합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데이터 분석과 AI 모델링, 실행까지 이어지는 완전한 흐름이 가능해졌으며, 기관별 맞춤형 솔루션 구현이 한층 쉬워졌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에이전틱 AI 기술도 SAS 전략의 중심이다. SAS는 자사의 ‘Viya’ 플랫폼을 통해 산업별로 특화된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있으며, AI 의사결정 과정의 *투명성*과 *추적 가능성* 확보를 위한 관리 체계를 강조했다. 사용자가 AI 의사결정의 경로를 되짚고 검증할 수 있도록 정교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휴먼 인 더 루프’ 방식을 통해 신뢰성 문제도 보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SAS의 이번 발표가 단순한 데모 수준을 넘어서, 실제 기업 현장에서 AI 추진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용적 접근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더 나아가 SAS는 생성형 AI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기술적 진화를 보여주며, 다양한 파트너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AI 생태계 내 입지를 공고히 다지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SAS의 전략이 AI 혁신의 높은 파도 속에서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을 꾀하는 방향성과 일치한다고 진단한다. 특히 데이터 신뢰성과 결정 투명성에 방점을 찍은 SAS의 접근은, AI가 실제 의사결정을 주도하는 시대에 더욱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