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OpenAI, 초고성능 오픈소스 GPT 모델 전격 공개… 글로벌 AI 생태계 '지각변동'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OpenAI가 gpt-oss 시리즈를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경쟁 심화 중인 글로벌 AI 생태계에 맞불을 놨다. 로컬 실행 가능성과 무제한 라이선스로 기업·정부 수요도 겨냥했다.

 OpenAI, 초고성능 오픈소스 GPT 모델 전격 공개… 글로벌 AI 생태계 '지각변동' / TokenPost.ai

OpenAI, 초고성능 오픈소스 GPT 모델 전격 공개… 글로벌 AI 생태계 '지각변동' / TokenPost.ai

오픈AI가 약 6년 만에 다시 오픈소스 인공지능(AI) 모델 출시로 초심으로 돌아갔다. gpt-oss-120b와 gpt-oss-20b라는 이름의 새로운 대형 언어 모델(LLM)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코드를 공개하고, 기업 및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수정·배포할 수 있는 Apache 2.0 라이선스를 채택했다.

gpt-oss-120b는 1개 GPU만으로도 가동 가능한 1,200억 개 파라미터 규모의 모델이고, gpt-oss-20b는 일반 노트북에서도 실행 가능한 200억 개 파라미터의 경량형 모델이다. 두 모델 모두 텍스트 기반 언어 모델로, 이미지나 음성 등 멀티모달 기능은 없지만, 코드 작성이나 수학 문제 해결 등 범용 작업 수행 능력은 유료 모델을 넘어서는 성능을 보인다. 실제로 OpenAI는 gpt-oss-모델이 자사의 유료 모델과 국제 경쟁 모델을 상회하는 벤치마크 수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 모델은 인터넷 연결 없이 로컬 환경에서 구동이 가능해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주권을 중시하는 기업이나 정부기관이 활용하기에 유리하다. Hugging Face와 GitHub에 전체 가중치가 업로드돼 있으며, 코드 사용에 아무런 제약이 없는 것도 큰 장점이다. 이는 메타, 구글, 앤트로픽과 같은 경쟁사들이 적용하는 사용 제한에 비해 훨씬 유연한 접근이다.

이처럼 OpenAI가 무료로 제공하는 고성능 오픈소스 모델을 출시한 배경에는 점점 격화돼가는 오픈소스 AI 생태계 경쟁이 자리하고 있다. 중국 딥시크(DeepSeek)는 물론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유럽의 미스트랄(Mistral)과 UAE의 팔콘 등 세계 각국에서 경쟁력 높은 오픈 모델들이 쏟아지는 가운데, OpenAI는 더 이상 폐쇄 모델만으로는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기 어렵다고 보고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선 셈이다.

더 나아가 OpenAI는 이번 gpt-oss 시리즈의 출시에 앞서 다양한 안전성 평가와 보안 조치를 완료했다고 강조했다. 내부 전문가팀과 외부 평가기관을 통해 생물학, 사이버 보안 등 민감 분야의 악용 가능성을 검토했으며, 실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악성 파인튜닝(MFT)도 함께 실시했다. 이 결과 현재 수준에서는 ‘중대한 위험’으로 분류되지 않는다고 판단, 공개가 결정됐다.

도로 오픈소스로 회귀한 데 대해 일각에선 수익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OpenAI는 현재 700만명의 주간 사용자로부터 연간 약 170억 원(약 $13 billion)의 고정 수익을 거두고 있는 상황에서, 무료 모델은 자칫 유료 모델의 수요를 잠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업의 전략 방향은 단순한 수익보다 생태계 주도권과 기술 플랫폼 완성도에 있다.

실제로 OpenAI는 이번 모델 공개와 별개로, 기업 고객을 위한 맞춤형 커스터마이징 컨설팅 서비스도 강화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기술 자체보다 그 활용과 내재화를 도와주는 부가 서비스로 수익 구조를 보완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일종의 팔란티어식 ‘임베디드 엔지니어링’ 모델을 AI 플랫폼에 접목한 것이다.

오픈 웨이트(공개 가중치) 모델 공개는 전세계에서 개방적 AI의 흐름을 더욱 가속화할 전망이다. 실제 Hugging Face에서 지난 한 달간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모델 10개 중 절반 이상이 아파치 또는 MIT 기반의 오픈소스 모델이며, Qwen, DeepSeek, Mixtral, GLM, Falcon 등이 글로벌 오픈소스 AI 시장을 이끌고 있다.

기술적으로도 gpt-oss는 최신 MoE(Mixture of Experts) 구조와 128,000개 토큰 컨텍스트 지원, 함수 호출 기능 개선 등 최첨단 사양을 갖췄으며, 향후 툴 통합도 가능하도록 설계돼 있다. 개발자는 초저지연부터 고정밀 추론까지 선택 설정을 통해 다양한 활용 시나리오에 맞게 맞춤 구성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OpenAI는 GTP-4o 중심의 유료 모델, Sora·Transcribe 등의 멀티모달 기술, API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 그리고 이번 gpt-oss 시리즈까지 아우르며 AI 풀스택 포트폴리오를 완성해가고 있다. 여기에 음악 생성, 시뮬레이션 모델 등 확장 가능성도 예고돼 있어 향후 AI 패권 경쟁에서 더 넓은 저변을 갖춘 구도를 노리고 있다.

개발자와 기업, 정부 기관에게 있어 OpenAI의 gpt-oss 공개는 단순한 코드 공개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단일 기업 중심의 AI 독점 구조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중심이 되는 자율적 AI 활용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