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월마트, AI 기반 신개념 보안 체계로 사이버 위협 대응 강화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월마트가 AI 위협 대응을 위해 제로트러스트 기반 신원접근 통제와 적대적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보안 전략을 전사적으로 도입했다. CISO는 AI와 보안의 동반 진화를 강조했다.

 월마트, AI 기반 신개념 보안 체계로 사이버 위협 대응 강화 / TokenPost.ai

월마트, AI 기반 신개념 보안 체계로 사이버 위협 대응 강화 / TokenPost.ai

AI 역량이 더욱 자율적으로 진화하면서, 월마트는 기존 보안체계를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제리 R. 가이슬러 월마트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는 최근 인터뷰에서 "AI의 잠재적 위협은 기존 보안 기준을 무력화할 수 있다"며 “보안 프레임워크를 새롭게 정의하는 게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AI 작동에 기반한 자율 에이전트 모델이 데이터 탈취, API 오용, 교묘한 내부 연계 공격 등 복합적 위협을 불러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월마트는 AI 보안 태세 관리(AI-SPM)를 전사적으로 도입하고, 실시간 위험 탐지와 데이터 보호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 전략은 개별 에이전트와 데이터 요청을 지속적으로 평가해 신뢰 기반 보안을 확보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 특히 다중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혼합 활용하는 월마트의 인프라 특성상, 접근 제어는 네트워크 위치가 아닌 ‘신원 기반 분리(Identity-based segmentation)’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기존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가 AI 환경에선 한계가 뚜렷한 만큼, 월마트는 보다 정밀한 신원 관리와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MCP, A2A와 같은 신뢰 기반 인증 프로토콜이 도입 중이며, 짧은 수명의 자격 증명을 통해 상황 맥락에 맞는 데이터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사이버 공격의 고도화도 월마트의 기술적 대응을 끊임없이 진화시킨다. 최근엔 생성형 AI를 활용한 정교한 피싱 공격이 급증하면서, 월마트는 동일한 기술을 역이용한 적대적 시뮬레이션 훈련을 도입했다. 여기에 머신러닝 기반 이상 탐지 시스템이 통합돼 실시간으로 위협 요소를 선제적으로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레드팀 활동과 연계된 이 방어 체계는 점점 더 지능화하는 위협에 대응하는 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월마트의 중앙 AI 플랫폼 ‘엘리먼트(Element) AI’를 통해 나타난 또 다른 과제는 오픈소스 기반 모델의 보안 취약성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월마트는 ‘속도와 거버넌스의 공존’이라는 철학 아래, AI 개발 과정을 단일 통제 구조로 집중시키고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활용, 모델 검증, 결과 해석 등 모든 단계를 표준화해 AI 운영 전반에 일관된 보안 정책을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이러한 AI 중심 전략은 또한 구성원에 대한 재교육과 인재 확보로도 이어진다. 월마트는 전사적인 ‘라이브 베터 유(LBU)’ 프로그램을 통해 직원들에게 사이버보안 관련 학위와 자격증 교육을 저비용 또는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연례 정보보호 콘퍼런스 ‘스파크콘(SparkCon)’을 개최해 업계 전문가와 지식 교류의 장을 마련하는 등 장기적인 인재 풀 확보에도 적극적이다.

한편, 미국 전역과 글로벌 시장을 동시에 운영하는 월마트 입장에선 수많은 보안 이벤트를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월마트는 SOAR(보안 오케스트레이션 자동화 및 대응) 플랫폼 중심의 자동화 체계를 구축, 다중 지역 간 빠른 위협 공유와 대응을 가능하게 했다. 아울러 위험도 기반 우선순위 시스템으로 자원 투입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다.

가이슬러 CISO는 “보안을 속도와 함께 구현하는 것이 진정한 경쟁력의 원천”이라며, “AI 보안도 사람과 기술이 공동 주체가 돼 진화해야만 지속 가능한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월마트의 AI 보안 전략은 단순한 기술 도입에 그치지 않고, 신원 기반 접근관리, 통합된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내부 교육 생태계, 그리고 위협 시뮬레이션까지 아우르며 초대형 유통 기업의 미래형 보안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07:06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8.22 07:07:0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